국내 경제계와 학계 전문가들은 100만 외국인 근로자 시대에 맞는 새 틀의 외국인 근로자 정책 수립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해외에서 기술 전문직 인재를 적극적으로 유치해 현재 단순 노무에 치우친 외국인 근로자 구조를 개선하는 한편 젊은 외국인 근로자들이 우리나라의 공장에서 숙련공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일정 조건을 갖출 경우 10년 이상의 정주 자격을 주는 방안도 검토하자는 것이다. 불법 체류자에 대해서는 단호하게 단속하고 업종별로 최저임금을 차등화해 일자리를 둘러싼 내·외국인 간 갈등에 대비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온다.

이정희 중앙대 교수(경제학부)는 "현재 외국인 근로자 정책은 과거 성장기 부족한 단순 노무 인력을 채우기 위한 수준에 머물러 있다"며 "경제성장이 둔화된 지금은 앞으로 어떤 분야에서 얼마나 외국인 인력이 필요한지 자세히 분석해 정책에 반영해야 할 때"라고 말했다. 인구 구조 변화로 현재 연 60만명을 웃도는 국내 신규 노동력 규모가 7~8년 뒤에는 50만명 수준으로 떨어지는 상황에서 외국인 근로자의 질적 개선이 필요하다는 주장도 나온다. 이철희 서울대 교수(경제학부)는 "현재는 외국인 근로자가 저숙련 단순 노무직 위주이지만 이런 일자리는 결국 자동화와 산업 침체로 줄어들 수밖에 없다"며 "10년 뒤를 바라보고 고숙련 전문직 외국인으로 정책 방향을 틀어야 한다"고 말했다.

국내에 들어온 외국인 근로자들이 숙련공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비자 제도를 개선하자는 지적도 나온다. 임채운 서강대 교수(경영학부)는 "외국인 근로자뿐만 아니라 사업자 입장에서도 4년 10개월씩 일하다 돌아가는 현행 방식은 지속 가능하지 않다"며 "체계적인 교육 훈련과 장기 고용이 가능하도록 개편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어차피 한국인 젊은 근로자가 거의 찾지 않는 주물 등 뿌리 산업을 위주로 업종별 최저임금 차등화하는 방안을 도입하자는 주장도 나온다. 이정희 중앙대 교수는 "최저임금의 가파른 인상에 따라 동남아 근로자들의 불법 체류가 늘어날 가능성이 크다"며 "프랑스·독일처럼 일자리를 둘러싸고 내·외국인 간 갈등이 불거지기 전에 최저임금 차등화 정책을 도입해야 한다"고 말했다.

반면 노민선 중소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국내 대학 진학률이 69%에 이르는 현실에서 중소 제조업체에 취업할 국내 인력은 턱없이 부족하다"며 "무조건 외국인 근로자에만 기대지 말고 현재 19% 수준인 직업계 고등학교 비중을 OECD (경제협력개발기구) 평균인 40%대로 높이는 방향으로 직업 교육을 활성화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