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원자력학회가 지난 16일 공개한 ‘2018 원자력발전(원전)에 대한 인식조사(만 19세 이상 1000명 대상)’에 따르면 원전 이용에 찬성한다는 응답은 71.6%로 반대(26%)를 압도했다. 60세 이상은 86.3%가 찬성을, 19~29세와 30~39세도 각각 71.4%와 64.1%가 찬성한다고 했다.

원전 비중을 확대(37.7%) 또는 유지(31.6%)해야 한다는 응답 역시 축소(28.9%)보다 많았다. 발전단가가 저렴하면서도 미세먼지·온실가스가 나오지 않는 원전의 장점을 국민들도 인식하고 있는 것이다. 정부의 에너지 정책에 대해서는 ‘잘한다’(45.5%)보다 ‘못하고 있다’(50.1%)가 우세했다.

원자력학회는 "결과 해석에는 논란이 있을 수 있으나 확실한 것은 정부의 탈원전 정책에 국민 다수가 동의하지는 않는다"고 했다. 국민들은 정부가 그토록 강조하던 신재생에너지가 폭염에 무용지물인 반면, 원전이 전력난을 해결하는 소중한 에너지원이라는 사실을 깨달았다.

이날 기자회견에 참석한 원자력 학자들은 "정부가 예측한 전력수요가 틀렸으니, 지금이라도 바로잡고 탈원전 정책을 재검토하라"고 주장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이런 여론에도 불구하고 16일 여야 원내대표와의 회동에서 "탈원전은 70년에 거쳐 점진적으로 되는 것이다. 상당히 속도 조절을 하고 있고, 탈원전 문제가 경제의 걸림돌이 되지 않겠다"고 소신을 굽히지 않았다.

한국수력원자력은 최근 공개한 반기보고서에서 "신규 건설중인 원전 중 발전사업허가를 받은 신한울 3·4호기도 정부 권고안에 따라 건설 중단이 될 가능성이 높다"면서 손실을 반영했다. 이미 사업 백지화를 결정한 천지 1·2호기, 대진 1·2호기에 이어 문재인 정부에선 신규 원전을 단 1기도 짓지 않을 것이라는 우려가 현실이 된 대목이다.

김학노 한국원자력학회 회장은 "정부가 국민과 전문가 의견에 귀를 기울이고, 국민이 걱정 없이 전기를 사용할 수 있는 에너지 백년대계를 만들어나가길 희망한다"고 말했다.

우리는 지난해부터 지속된 탈원전 논란 속에서 무엇이 잘못됐고, 전기가 얼마나 중요한지 생각하게 됐다. 분명한 사실은 이 땅에선 말처럼 신재생에너지가 원전을 대체하기가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는 점이다.

원전 인식조사에서 국민들은 진보와 보수를 막론하고 원전 이용에 찬성했다. 문 대통령은 이런 국민의 의견을 간과해선 안 된다.

‘2030’ 세대가 앞으로 살아갈 20년 후, 30년 후 대한민국을 생각해보라. 전기가 부족해 아무 것도 못하는 무능한 나라로 도태될 것인지, 아니면 세계 최고 수준의 원전 인프라를 기반으로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선도하는 국가가 될 것인지 문 대통령의 선택에 달려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