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성 원전 1호기 조기 폐쇄 비용 반영으로 큰 폭 적자

한국전력(015760)의 자회사인 한국수력원자력이 올 2분기에 분기 기준 사상 최대 순손실을 냈다. 정부의 탈원전 정책으로 원전(원자력발전소) 가동률이 60%대로 떨어진데다, 올 6월 한수원 이사회가 월성 1호기 조기 폐쇄, 신규 원전 4기 사업 백지화 등을 결정한데 따른 비용을 떠안았기 때문이다.

한국수력원자력 경주 본사 전경.

한수원은 올 2분기에 연결기준으로 6134억원의 당기순손실을 기록했다고 14일 공시했다. 이는 분기 손실로는 한수원 설립 후 최대치다. 앞서 한전도 올 2분기 연결기준으로 6871억원의 영업손실을 냈다고 밝혔다.

한수원은 올 2분기에 영업이익 433억원을 냈지만, 지난해 2분기(2025억원)보다 78.6%가 줄었다. 올 2분기 매출은 1조9815억원으로 지난해 2분기 대비 13.8% 감소했다.

한수원 관계자는 “원전이용률이 지난해 71.2%에서 올 2분기 63%로 하락해 매출이 감소했다”며 “2분기 순손실은 월성 1호기 조기 폐쇄, 신규 원전 건설 중단에 따른 영업외비용 7282억원이 추가로 발생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한수원은 올 상반기에 5481억원의 순손실을 기록했다. 지난해 상반기 순이익은 6695억이었는데, 1년 사이 순이익이 1조1000억원 정도 줄었다. 한수원의 올 상반기 영업이익은 2268억원으로 지난해 상반기(9425억원)보다 76% 가까이 줄었다.

한수원은 올 6월 15일 이사회를 열어 2022년까지 운영허가를 받은 월성 1호기를 조기 폐쇄하기로 의결했다. 이에 따른 감가상각비 5652억원을 올 2분기에 반영했다. 월성 1호기의 감가상각비는 한수원이 2022년까지 월성 1호기를 운영하면서 처리해야 할 비용이지만 조기 폐쇄를 결정하면서 일시에 비용으로 처리됐다.

한수원의 원전 가동률은 올 1분기 50%대에서 올 2분기 60%대로 다소 회복됐지만 정부의 탈원전 정책 이전 가동률이 70~80%대였던 것을 감안하면 여전히 낮은 수치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올 상반기 원전 이용률이 낮은 것은 정부가 인위적으로 원전 가동을 중지했기 때문이 아니라 과거에 건설한 원전에서 부실시공 등 문제가 발견돼 정비기간이 늘어났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한수원은 이날 공시를 통해 “정부의 에너지 전환정책으로 인한 원전의 단계적 감축과 관련해 정부는 적법하고 정당하게 지출된 비용에 대해서는 관계부처와의 협의, 국회심의를 거쳐 기금 등 여유 재원을 활용해 보전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