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탈(脫)원전 정책으로 한국의 원자력 전공자들은 일자리를 걱정해야 하는 처지인데, 중국은 원자력 기술 인재 부족을 해소하기 위해 국가급 교육기관인 '핵공업대학'을 설립하기로 했다.

20일 중국 관영 영자 글로벌타임스 등에 따르면 중국 최대의 원자력 기업 중국핵공업그룹은 최근 톈진시와 협약을 맺고 톈진시에 핵공업대학을 세우기로 했다. 이 대학은 원자력 기술 인력 양성, 석·박사 프로그램 운영, 국제학술 교류, 원자력 핵심 기술 연구 등을 맡을 국가급 산학연 혁신 기관으로, 개교와 동시에 원자력 분야에서 중국 최고 명문대학이 될 것이라고 글로벌타임스는 전했다.

핵공업대학 건립 아이디어는 올해 3월 중국 양회(兩會·전국인민대표대회와 정치협상회의)에서 처음 제기된 이래 단 3개월 만에 현실화됐다. 중국원자력과학연구원 완강 원장은 당시 언론 인터뷰에서 "원자력산업 발전이라는 국가 전략에 맞춰 한시라도 빨리 핵공업대학을 세워야 한다"며 "이를 통해 젊은 인재들을 수준 높은 기술 혁신 그룹으로 키워내야 한다"고 말했다.

중국은 현재 베이징대, 칭화대, 자오퉁대 등 명문대학마다 원자력 관련 학과를 개설하고 있다. 그러나 졸업생의 절대 수 면에서 자국 원자력 산업의 수요를 좇아가지 못하고 있다. 기존 대학 졸업자만으로는 우라늄 농축, 사용후 핵연료 재처리, 핵융합 등 다양한 원자력 분야의 인재들을 공급할 수 없다는 것이다. 글로벌타임스는 "중국을 본격적인 원전수출 대국으로 변모시키겠다는 야심 찬 목표를 담은 13차 5개년 경제사회개발 계획이 만료되는 2020년까지 필요한 원자력 인재의 절반도 못 채우는 수준"이라고 했다.

중국은 현재 36기의 원전을 운용 중이고, 20기 원전을 새로 짓고 있는 세계 2위의 원전 대국이다. 글로벌 석유 메이저 회사 BP의 '2017 세계 에너지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은 2026년 원자력 발전 용량 면에서 미국을 제치고 세계 최대의 원전대국으로 등극할 전망이다. 중국의 거시경제 정책을 총괄하는 국무원 발전개혁위원회 왕이난 연구원은 "원자력 인재 확보는 중국 원자력발전소의 안전과도 직결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