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은행, 상호금융 등 2금융권의 신용대출 연체율이 빠르게 높아지고 있다. 신용도가 낮은 저소득층이 2금융권 신용대출을 주로 이용한다는 점에서 금리 인상기를 맞아 저소득층 가계대출 부실화가 가속화되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특히 오는 12∼13일(현지 시각) 열리는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기준 금리를 연 1.75~2.00%로 0.25%포인트 인상할 것으로 전망되면서 취약계층에 대한 금리 압박은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그래픽 = 이다희 디자이너

10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올해 3월 말 보험사 전체 대출채권 연체율은 0.52%로 지난해 말(0.51%)보다 0.01%포인트 오르는 데 그쳤지만 가계대출 연체율은 0.52%에서 0.56%로 0.04%포인트 상승했다. 특히 신용대출 등이 포함된 주택담보 외 대출 연체율은 같은 기간 1.30%에서 1.42%로 0.12%포인트 급등했다.

저축은행의 대출 연체율은 4.6%로 지난해 말과 같은 수준이었으나 같은 기간 가계대출 연체율은 4.5%에서 4.9%로 0.04%포인트 올랐다. 가계대출 중 가계신용대출 연체율은 6.1%에서 6.7%로 껑충 뛰었다.

신협과 농협 등 상호금융권의 상황도 비슷하다. 3월 말 가계 연체율은 1.39%로 지난해 말(1.18%)보다 0.21%포인트 올랐다. 이 중 신용대출 연체율이 1.38%에서 1.65%로 0.27%포인트 상승했다.

전문가들은 “저소득층이 주로 이용하는 2금융권 신용대출 연체율이 비교적 빠른 속도로 오르고 있다"며 “금리가 지속적으로 오를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 저소득층의 대출 원리금 상환 부담은 갈수록 커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고신용자들이 주로 이용하는 은행권 가계대출 연체율은 같은 기간 0.23%에서 0.25%로 0.02%포인트 상승하는 등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모습을 보였다. 신용대출 연체율도 0.38%에서 0.40%로 0.02%포인트 상승했다.

반면 취약계층이 주로 이용하는 저축은행과 보험, 상호금융 등 2금융권의 연체율은 많이 올랐다. 특히 담보가 없는 신용대출의 연체율이 오르고 있는 것은 취약계층 가계 대출의 부실화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저소득층의 가계소득 감소 역시 연체 증가의 배경으로 거론되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올 1분기 소득 하위 20%(1분위) 가계의 명목 소득은 128만6700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8.0% 줄었다. 소득 하위 20∼40%(2분위) 가계 역시 4.0% 감소했다.

금융권 관계자는 “저금리 시절에 생활이 어려운 취약 계층이 싼값에 돈을 빌려 썼다가 금리 인상기에 접어들면서 늘어난 이자 비용을 감당하지 못해 연체율이 높아졌다”며 “가계부채 뇌관이 터지지 않도록 정부와 금융당국은 한계 대출자를 위한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