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개발연구원(KDI)은 미국의 기준금리 추가 인상으로 국제금융 시장의 변동성이 커지더라도 한국은 그 충격을 감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미국이 기준금리를 25bp 인상할 경우 한국 금융시장에서 유출되는 외국자본 규모는 국내총생산(GDP) 대비 0.38%(58억달러)에 그칠 것으로 예상했다. 단기간내 기준금리 인상폭이 50bp이면 최대 GDP의 1.56% 수준인 24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추정했다.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 의장

최우진 KDI 거시경제연구부 연구위원은 27일 ‘미국의 통화 정책 변화가 외국 자본 유출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에서 “미국의 금리인상은 주로 우리 나라의 부채성 자금(차입 및 채권 투자)을 중심으로 외국 자본 유출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으나 규모는 통상적인 수준일 것”이라며 이같이 분석했다.

보고서는 미국의 통화 정책 정상화 이후 한국 자본 시장은 부채성 자금 중심으로 외국 자본 유출이 발생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가 기준금리를 25bp 추가 인상하면 미국의 단기 국채 금리는 37.5bp 상승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 경우 한국 자본시장에서 유출될 수 있는 외국 자본 규모는 GDP 대비 0.38%에 이를 것으로 추정했다.

미국 금리인상과 우리 나라의 외국 자본 유출 관계

보고서는 “GDP 대비 0.38% 규모는 한국에 들어와 있는 외국 자본 대비 0.52% 수준이다”고 밝혔다.

미국은 지난 3월 기준금리를 연 1.50∼1.75%로 25bp 올렸다. 현재 한국(1.50%)과 미국의 금리 역전 폭은 최대 25bp다. 미 연준이 다음달 기준금리를 25bp 추가 인상할 가능성이 확실시되고 있어 금리 역전폭은 50bp로 확대될 예정이다. 한국은행 금통위는 지난 24일 기준금리를 현행 1.50%로 동결했다.

보고서는 미국이 기준금리를 단기간내 50bp 올리더라도 한국은 그 충격을 감내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미국이 기준금리를 50bp 올리면 국제 금융 시장의 변동성(VIX) 상승폭이 지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수준(29.0%)까지 확대될 수 있지만 이 경우에도 한국의 외국자본 유출 규모는 최대 GDP 대비 약 1.56%(240억달러)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발생 당시 한국에서 빠져나간 외국 자본 규모의 48% 수준이다. 그러나 보고서는 현재 3984억 달러 규모의 외환보유액을 고려하면 이 정도의 외국 자본 유출 충격에 대해서는 버틸 수 있다고 평가했다.

한편 보고서는 남북 관계에 따른 지정학적 위험으로 인한 외국 자본 유출 가능 규모는 GDP 대비 0.10%(전체 외국 자본의 0.13%)라고 분석했다. 하지만 최근 남북 정상 회담 등으로 인해 지정학적 위험이 다소 완화되면서 외국 자본 유출 규모가 추정치 보다 줄어들 수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