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젊은 '디지털 세대' 직원들이 일사불란하게 움직여 혁신을 만드는 보험사가 될 겁니다."

ING생명의 정문국 사장은 국내 보험업계 최초로 '애자일(agile·민첩한) 조직'을 도입한 이유를 '생존전략'이라고 했다. 정 사장은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국내 보험 시장에서 살아남기 위한 필사의 선택이었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아날로그 세대'인 사장이나 임원이 아닌 젊은 직원들에게 자율성을 부여하고, 직접 회사를 바꾸게 해야겠다는 생각도 했다"고 말했다.

정문국 ING생명 사장은“애자일(agile·민첩한) 조직을 통해 빠르게 변하는 디지털 시대에 대응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애자일 조직을 도입한 이유에 대해“경쟁이 치열해지는 보험업계에서 생존하기 위한 선택”이라고 설명했다.

ING생명의 본사 직원 500명 중 200명은 지난 1일 기존 부서에서 짐을 쌌다. 구글 등 미국 IT 기업들이 많이 도입하고 있는 '애자일 조직'으로의 개편이 이뤄지면서다. 업무 기능별로 나뉘어 있던 마케팅본부와 운영본부가 해체되고 그 밑에 10명 내외의 직원으로 구성된 16개의 소(小)팀이 설치됐다.

마케팅만 하던 직원, 상품 개발만 하던 직원, 영업만 하던 직원이 한 팀에 모여 '2030고객을 위한 팀' '4050고객을 위한 팀' 등을 만들었다. 2030팀은 '가성비를 중시하는 2030에 맞는 보험상품 개발' '취업, 결혼 등 인생 주기에 맞춘 고객 서비스' 등을 고민하는 식이다. 부서 간 미팅이 사라지고 결재 단계가 축소되면서 의사 결정 속도가 빨라졌고, 직원들은 타깃 고객층을 염두에 두기 시작했다.

정 사장은 "회사 간 '파이 뺏기'가 이뤄지는 저성장 시기에는 고객의 새로운 수요에 누가 더 빨리 접근하느냐가 성패를 가른다"고 했다.

ING생명은 대주주인 MBK파트너스가 새 인수자 찾기에 나선 상태다. 현재 KB와 신한금융지주 등이 눈독을 들이고 있다. ING생명은 2014년 정 사장이 경영을 맡은 뒤 순항하면서 작년 말 기준 총자산 31조4554억원(생보업계 6위), 당기 순이익 3402억원을 달성했다. 보험사 재무 안전성 지표인 RBC 비율(가용자본÷요구자본)도 455%로 생보업계에서 가장 높다. 정 사장은 "ING생명은 까다로운 유럽 본사의 재무 기준을 따라왔기 때문에 보험사의 재무 안전성을 엄격하게 규제하는 새 국제회계기준(IFRS17)이 도입되어도 타격이 작다"고 했다. 그는 "앞으론 저축성 보험 등을 많이 팔아서 하는 몸집 불리기가 어려워질 것"이라며 "누적된 혁신 역량을 통해 국내 보험사들과 '정면 승부'를 해보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