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오는 2022년까지 5년 내 스마트팜 청년 농업인(39세 이하) 600명을 육성하기로 했다. 스마트팜은 정보통신기술(ICT)을 온실·축사 등에 접목해 스마트폰과 컴퓨터로 작물과 가축의 생육 환경을 원격·자동 관리하는 최첨단 농장이다. 정부는 스마트팜 청년 일자리를 늘리기 위해 스마트팜 창업 청년에게 싼 임대료로 땅을 빌려주고 최대 30억원까지 대출을 해주기로 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16일 제5차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이같은 내용의 ‘스마트팜 확산 방안’을 발표했다.

정부는 오는 2022년까지 4개의 스마트팜 혁신밸리를 조성하기로 했다. 이곳에는 청년 창업 보육센터와 청년 임대형 스마트팜, 스마트팜 실증 단지가 들어선다. 정부는 오는 7월말까지 전국 시·도를 대상으로 신청을 받아 올해내 2곳의 스마트팜 혁신밸리를 선정하고, 추후에 2곳을 추가로 지정할 예정이다.

현재 스마트팜 시설원예 규모는 4010ha, 축사는 790호다. 정부는 이번 대책으로 2022년까지 스마트팜 시설원예 규모는 7000ha, 축사는 5750호로 확대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정부는 내년부터 스마트팜 청년 창업 보육센터 4곳을 지정해 2022년까지 600명의 전문 인력을 키우기로 했다. 정부는 이미 올해 60명의 청년 교육생을 선발해 시범 교육을 실시 중이다. 정부는 보육센터를 수료한 청년 농업인이 곧바로 창업할 수 있도록 후속 지원 방안도 마련했다.

2021년까지 약 30ha의 임대형 스마트팜을 조성해 청년 창업 보육센터를 졸업한 농업인에게 저렴한 임대료만 받고 땅을 제공할 방침이다. 스마트팜 창업 등을 위한 정책 자금도 지원한다. 농고·농대 등 전문교육 이수자에 대해서는 농신보 보증비율을 85%에서 90%까지 상향해 담보와 신용이 부족한 청년에 대한 대출 가능금액을 확대하기로 했다. 창업 5년 이내 경영체에 투자하는 농식품 벤처펀드(125억원)도 올해 7월에 결성하기로 했다. 보육센터 수료생이 창업한 스마트팜에 대한 투자를 유인하기 위해 수익이 날 경우 투자 금액의 5%를 정부가 인센티브로 지급하는 방안도 추진하기로 했다.

앞서 정부는 올해 1월 기존 ‘스마트팜 종합자금’을 청년 농업인에게 맞게 특화한 ‘청년 스마트팜 종합자금(금리 1%, 최대 30억원)’을 출시했다. 딸기 스마트팜 청년 농업인이 자금 30억원의 ‘1호 대출’을 받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