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태어난 아이가 처음으로 40만명 아래로 떨어지면서 합계출산율이 역대 최저인 1.05명을 기록했다.

통계청이 28일 발표한 '2017년 출생·사망통계 잠정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합계출산율은 1.05명으로 종전 최저치였던 2005년 1.08명보다 더 낮아졌다. 합계출산율은 15~49세 여성이 가임(可妊) 기간에 낳는 자녀 수를 뜻한다. 기존 인구 규모를 계속 유지하려면 합계출산율이 2.1명은 돼야 한다.

합계출산율 1.05명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5개 회원국 평균(1.68명·2015년 기준)을 크게 밑돌 뿐 아니라 대표적인 저출산 국가로 꼽히는 일본(1.46명), 싱가포르(1.24명) 등에도 못 미치는 수준이다. 대만(2010년 0.89명)과 홍콩을 제외하면 전 세계적으로 1.05명을 기록한 국가는 한국이 유일하다. 우리나라 합계출산율은 2005년 1.08명으로 최저치를 찍었다가 정부 저출산 대책 등이 나오면서 다소 반등해 그간 1.1~1.2명 선을 오갔다. 결혼 기피 등 저출산 현상이 심화하면서 급기야 현재 인구를 유지할 수 있는 수준(2.1명)의 절반으로 주저앉게 됐다.

문제는 가임여성 인구 감소와 고령 출산이 맞물리면서 출생아 감소에 가속도가 붙었다는 점이다. 지난해 출생아는 35만7700명에 그쳐 2002년부터 이어 온 '40만명대'라는 마지노선이 15년 만에 무너졌다. 40만명 붕괴는 통계가 작성된 1970년 이후 처음으로, 종전 최저였던 2016년(40만6200명)에 비해 11%나 감소했다. 이지연 통계청 과장은 "청년 실업, 경기 불황, 주택 가격 상승 등 경제적 요인 외에 북핵 위기, 대통령 탄핵 등 2016년 이후 발생한 사회적 불안 요인이 둘째 이상 자녀 출산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반면 고령화 영향으로 지난해 사망자(28만5600명)는 1983년 통계 작성 이후 최대를 기록했다. 그 결과, 지난해 자연증가 인구(출생-사망)는 7만2000명으로 통계 작성(1970년) 이후 가장 낮았다.

특히 작년 12월엔 출생자보다 사망자가 더 많아, 월별 기준으로 인구가 처음으로 자연 감소했다.

전문가들은 출산율 1.05명을 '예견된 쇼크'로 받아들이면서 상황 개선이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한다. 서울대 조영태 보건대학원 교수(인구학 전공)는 "6·25전쟁 중에도 한 해 50만명 이상 낳았는데, 출생아가 이렇게 급격하게 감소한 사례는 찾아보기 힘들 것"이라며 "청년 실업, 결혼 기피 등으로 저출산 현상이 고착화했기 때문에 '출생아 40만명대'를 회복할 가능성은 없어 보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