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 화폐 시세 폭락 사태는 거품이 꺼지는 과정으로 볼 수도 있지만, 세계 각국이 가상 화폐 규제를 강화하기 시작한 것이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한국 정부는 지난 23일 가상 화폐 거래 실명제를 포함한 '가상 통화 관련 자금 세탁 방지 가이드라인'을 발표했다. 가상 화폐 투자금은 실명 확인된 계좌로만 입출금해야 하고, 하루 1000만원 넘는 돈이 가상 화폐 거래소에 입출금되면 은행을 통해 투자자 신원과 거래 내용이 당국에 통보된다.

중국은 한국보다 훨씬 강도 높은 규제책을 시행하고 있다. 중국 정부는 지난해 9월 가상 화폐 거래를 금지하고 신규 가상 화폐 공개(ICO)를 불법으로 규정했다. ICO는 가상 화폐를 개발한 뒤 투자자에게 팔아 자금을 조달하는 것을 말한다.

새해 들어서는 가상 화폐 채굴 업체의 전기 사용을 제한하는 등 채굴 금지령까지 내렸다. 개인 간(P2P) 거래 등 장외 거래와 해외 가상 화폐 거래 사이트 접속도 차단하고 있다.

반면 일본 정부는 가상 화폐 거래를 허용하면서 '최소한의 규제'를 적용하고 있다. 시장의 육성과 규제 사이에서 균형을 잡겠다는 태도다. 지난해 말부터 가상 화폐 거래소에 대해 사전 심사를 거쳐 금융청에 등록하도록 했다. 가상 화폐 거래 이익은 기타 소득으로 규정해 세금을 물리기로 했다.

미국 정부는 가상 화폐 거래를 비교적 자유롭게 허용해왔다. 시카고선물거래소 등에서 비트코인 선물 상품이 상장되는 등 제도권 내에서도 가상 화폐 관련 거래가 이뤄졌다. 하지만 최근 나타난 가상 화폐 관련 불법적 거래 행위에는 당국이 채찍을 들기 시작했다. 지난달 가상 화폐 거래소 비트커넥트는 텍사스·노스캐롤라이나주 당국의 승인을 받지 않고 거래를 중개했다는 이유로 경고를 받고 가상 화폐 거래를 중단했다. 미 상품선물거래위원회는 또 다른 거래소 비트피넥스의 시세 조작 의혹 조사에 나섰고, 이어 미 증권거래위원회도 댈러스주 어라이즈뱅크가 ICO를 통해 모은 6억달러를 동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