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후·불량 주거지를 소규모 공동주택으로 신축하는 가로(街路)주택 정비사업 제도가 차츰 결실을 보고 있다.

지난해 11월 말 서울 강동구 올림픽로 89길에 7층짜리 아파트 다성이즈빌 1개 동이 가로주택 정비사업을 통해 완공하면서 본격 신호를 띄웠다. 국토교통부가 파악한 가로주택 정비사업 조합 현황은 전국에 67곳. 지역별로는 수도권(서울 23곳, 경기 22곳, 인천 10곳)이 다수이나 경북 5곳, 대구 2곳, 부산 1곳 등 점점 지방으로도 사업이 확산하는 추세다.

3층 연립이 7층 아파트로 국내 첫 가로주택 정비사업 성과물인 서울 강동구 천호동 다성이즈빌(오른쪽). 1987년 지은 동도연립(왼쪽)을 재건축한 아파트다.

도시 낡은 주거지역을 정비하는 작업은 그동안 주로 대규모 재개발·재건축에 의존했다. 그러나 사업 대상 지역이 넓을수록 지분 조정 등을 놓고 주민들 간 이해 관계가 충돌, 진행이 늘어지면서 주거 환경 개선이란 본래 취지를 제대로 구현하지 못하는 경우가 적지 않았다. 이런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가로주택 정비사업이 2012년 도입됐다.

4면이 도로로 둘러싸이고 구역 면적 1만㎡ 이하, 노후 건축물이 전체 3분의 2 이상, 20가구 이상 사는 지역이 대상이다. 정비구역 지정이나 추진위원회 승인 등 절차를 생략할 수 있어 진행 속도가 빠르다.

1호 사업지 서울 다성이즈빌은 원래 1987년 지어진 동도연립주택 2동을 '미니 재건축'했다. 그 결과, 낡고 좁았던 연립주택 66가구가 새 아파트 96가구로 변신했다. 원래는 거주민들이 인근 600여 가구와 함께 대단지 아파트로 추진했지만 주민 합의가 10년 넘게 이뤄지지 않고, 그 사이 주택 노후화가 심해지자 방향을 틀었다.

동도연립 주민들은 가구당 평균 6500만원 분담금을 내고, 30가구를 더 증축한 뒤 일반분양해 나오는 수익을 합쳐 사업비(150억원)를 충당, 새 아파트를 완성했다. 2015년 9월 조합설립 인가, 2016년 6월 사업시행 인가에 이어 11월 착공, 2017년 11월 준공을 마쳤다. 연립주택 시절 전용면적 기준 40~50㎡대(23~24평)이던 집은 46~57㎡(25~27평)로 약간 커진 정도다. 그럼에도 만족도는 높다. 김정배 조합장은 "골칫거리이던 주차 문제도 지하주차장을 만들면서 해결했다"면서 "새로 집을 지은 뒤 시세가 전보다 가구당 1억원가량 올라 결과적으론 이득"이라고 말했다.

가로주택 정비사업에는 지자체와 주택도시보증공사(HUG)에서 사업비·이주비 등에 대해 보증을 서주고 융자도 알선한다. 다만 사업 규모가 작다보니 대형 건설사가 참여를 꺼려 안정성이 떨어진다는 지적도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