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현장 노동생산성을 40%까지 향상하고 안전사고로 인한 사망자 수를 30% 줄이기 위한 기술이 개발된다. 3차원(3D) 프린터와 인공지능(AI)이 건설 현장에서도 활용될 전망이다. 국토교통부는 2025년까지 스마트 건설자동화 기술 등 4차산업혁명에 대응하기 위한 기술을 개발하겠다는 내용을 담은 ‘제6차 건설기술진흥 기본계획’을 수립했다고 2일 밝혔다.

국토부는 건설산업이 전통적인 ‘로우 테크(Low-Tech)’ 이미지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국내총생산(GDP) 대비 건설투자 비중이 감소하고 건설생산성은 선진국의 3분의 1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그 결과 국내 건설 엔지니어링 기업들은 해외 고부가가치 엔지니어링 시장에 진입하지 못하고 있다.

국토부는 4차산업혁명에 대응하는 스마트 건설기술을 개발하기로 했다. 현장에서 작업이 이루어져 정밀 시공이 어렵고 안전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는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3차원 설계기술인 BIM을 활용해 설계하고 가상으로 시공한 다음 3D 프린터로 공장에서 건설 부재를 모듈화해 제작한다는 것이다. 조립과 시공은 인공지능(AI)을 탑재한 건설로봇이 담당한다. 정부는 2025년까지 이 기술을 개발할 계획이다.

정부는 또 드론과 사물인터넷(IoT) 센서, 초소형 로봇 등을 활용해 시설물의 문제점을 알아내고 대응하는 시스템도 개발한다. 이 밖에 해외시장 진출에 필요한 해저터널 등의 핵심 원천기술도 확보하도록 연구개발(R&D) 예산을 투입한다.

건설엔지니어링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2018년부터 발주제도를 국제표준에 맞춘 ‘종합심사낙찰제’로 전면 개편한다. 이렇게 되면 낙찰률이 소폭 상승해 낮은 엔지니어링 대가 문제도 일부 해결될 것으로 국토부는 기대하고 있다.

국토부 관계자는 “건설산업이 고부가가치 미래산업이 되려면 4차산업혁명 기술을 활용한 융합기술이 꼭 필요하다”면서 “앞으로 건설산업이 데이터 기반의 첨단 공장형 산업으로 진화해 일자리를 창출하고 국민 안전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