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기술(ICT)의 발달로 저소득 노인층도 가격 부담 없이 치매를 조기에 진단하고 빠르게 치료할 수 있는 방법이 열렸습니다.”

배애님 치매DTC융합연구단장(사진)은 9일 오전 서울 중구 소공동 웨스틴조선호텔 그랜드볼룸에서 개막한 '헬스케어 이노베이션 포럼 2017'에서 '치매 등 뇌 질환 극복을 위한 첨단 의료의 노력'이라는 주제로 강연을 진행했다.

배에님 치매DTC융합연구단장이 2017년 11월 9일 오전 서울 중구 소공동 웨스틴조선호텔 그랜드볼룸에서 개막한 ‘헬스케어 이노베이션 포럼 2017’에서 기조강연을 하고 있다.

치매는 퇴행성 뇌질환으로 단백질 침착으로 뇌세포가 사멸돼 인지능력이 저하되는 질환이다. 치매 진단 이후 3년이 지나면 인지능력이 크게 저하되기 때문에 조기 진단을 통해 치매 진행 속도를 늦추는 것이 중요하다.

배 단장은 “치매는 완전한 치료가 어렵고 증상을 조금 완화시킬 뿐, 근원적인 치료제 개발이 어렵다”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활용한 치매 조기 진단 방법 등을 통해 증상이 악화되기 전 먼저 발견해 대응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배 단장은 ICT를 활용해 치매 환자의 질환 진행 상황을 진단하는 방법으로 가상현실(VR)을 활용한 사례를 소개했다. 그는 “환자의 치매 상태가 어떤지 확인하기 위해 VR 영상을 보여주고 행동을 파악하는 방법이 가능하다”면서 “환자의 동공 움직임과 행동 등을 통해 환자의 치매 진행상황을 분석할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다”고 말했다.

배 단장은 치매 환자 간병을 위한 ICT 활용 방법으로 ‘간병인 로봇’도 언급했다. 그는 “가족들이 하루 종일 치매 환자 옆을 지키지 못하기 때문에 로봇을 이용해 치매 환자 간병을 할수 있도록 로봇 시스템을 개발 중”이라며 “간병 로봇을 통해 24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하고, 가족과 병원에 위험 상황을 즉각 알려줄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배 단장은 “단순 로봇이 아니라 환자와 정서적 교감이 가능한 로봇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이를 위해 한국과학기술원(KIST)이 병원에서 이를 이용한 임상 기반 연구도 병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배 단장은 “치매 진단 케어에 필요한 국가별 총 비용이 2030년이 되면 39조원까지 증가할 것”이라며 “치매를 조기 진단하고 치료하기 위해 국가적 차원의 종합적 대책 마련이 필요하며, ICT를 활용한 방안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