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서울 중구 소공동 웨스틴조선호텔 그랜드볼룸에서 열린 ‘헬스케어이노베이션포럼 2017’ 오전 오픈토크에 나선 전문가들은 유전체학과 정밀의료 기술 활성화를 위해서는 정부의 정책에 대한 심도 깊은 고민과 기술의 안전성을 입증하는 게 중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오픈토크에는 서유헌 가천대 뇌과학연구원장이 좌장을 맡고 에드가 맥빈 일루미나 글로벌 사업개발 총괄을 비롯한 존 매틱 호주 가반 연구소 RNA Biology and Plasticity Lab 소장, 김진수 서울대 교수, 박웅양 삼성서울병원 유전체연구소장이 패널로 참여해 열띤 토론을 벌였다.

헬스케어이노베이션포럼 2017에서 서유헌 원장, 에드가 맥빈 총괄, 존 매틱 소장, 김진수 교수, 박웅양 소장이 오픈토크에 참여하고 있다.

존 매틱 소장은 유전정보와 관련해 정부 차원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사실상 모든 사람의 유전정보가 의료 기록에 들어가게 될 것인지에 대한 논의가 부족하다”며 “(유전정보 관련 정책은) 국민에게 큰 영향을 주기 때문에 정부 차원에서 어떤 방향으로 갈 것인지에 대한 고민과 적극적으로 지원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에드가 맥빈 총괄은 유전자 가위 기술에 대해 윤리적 문제와 안전성 입증이 우선돼야 한다고 역설했다. 그는 “유전자 가위 기술의 경우 윤리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각 국가별로 다른 가치를 고려해야 한다”며 “임상 적용도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다음은 일문일답.

서유헌 가천대 뇌과학연구원장(좌장·이하 서)= 개인 맞춤형 정밀 의료 부문에서 유전자 연구와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분석으로 미래를 예측할 수 있게 됐지만 어려움도 아직 많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정부의 역할은 어떠해야 하는가.

에드가 맥빈 일루미나 총괄(이하 맥빈)= 유전정보로 차별을 받을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있다. 이를 정책을 수립할 때 고려해야 한다.

존 매틱 호주 가반 연구소 RNA Biology and Plasticity Lab 소장(이하 매틱)= 유전정보 관련해 정부 차원에서 적극적으로 지원하는 것이 중요하다. 국가마다 전략적으로 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사실상 모든 사람의 유전정보가 의료기록에 들어가게 될 것이라는 부분에 대해 모두가 동의하지만 어떤 방향으로 갈 것인지에 대한 중간단계 논의가 부족하다. 미래에 대한 진지한 논의가 필요하다.

박웅양 삼성서울병원 유전체연구소장= 현재 우리나라뿐 아니라 전 세계에서도 아직까지 유전정보에 대한 규제가 없다. 한가지 특징은 규제를 정할 때 다른 나라에서 나온 규제를 도입한다는 것이다. 이때 사회적 특성 등을 반영해 한국에 적합한 규제를 먼저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왼쪽부터) 에드가 맥빈 총괄, 김진수 교수, 존 매틱 소장, 박웅양 소장.

서= 유전자 가위의 윤리적 문제와 안전성에 대한 의견은.

김진수 서울대 교수= 현재 임상시험 중에 있는 유전자 가위는 암을 비롯한 다양한 질환에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모든 새로운 치료법은 부작용을 수반하기 마련이다. 유전자 가위는 영국과 중국 등지에서 계속 임상시험이 진행되고 있고 국내에서도 준비하고 있다.

맥빈= 유전자 가위는 전문가들이 앞장서서 윤리적인 문제를 해결하고 안전성을 입증해야 한다. 윤리적인 문제를 해결한 다음 각 국가마다 다르게 가지고 있는 가치를 고려해야 한다. 이는 매우 흥미진진한 부분이다. 임상시험에서도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

매틱= 동의한다. 유전자를 교정할 때 정밀하게 과정이 이뤄져야 하는데 유전자 질환은 태아가 나오기 전부터 교정하기는 어렵다. 절반의 성공이다. 유전자 교정·편집은 선제적으로 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유전자 가위 기술은 유망하지만 비용이 굉장히 많이 들어서 어려움이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