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전 건설은 통상 계획·설계·시공·준공까지 10년 이상 걸리고 실제 공사 기간만 7년이 넘는 대형 프로젝트다. 이 과정에서 대규모 인력이 필요하기 때문에 경제 활성화와 고용에 직간접적으로 미치는 영향이 크다.

보통 원전 공사 현장엔 1만여 명 이상 인원이 필요하다. 신고리 원전 5·6호기만 해도 지금까지 한국수력원자력을 비롯, 건설과 납품·하청 관련 업체 700여 곳 1만2800명이 투입됐다. 하루 최대 3000명이 동시에 일하기도 한다. 이를 바탕으로 추산하면 신고리 5·6호기와 계획 중인 원전 6기, 4개 프로젝트를 취소하면 일자리 4만개 이상이 사라지는 셈이다. 이 때문에 결과적으로 일자리 창출을 늘리겠다는 정부 정책과 배치된다는 지적도 나온다.

공사 과정뿐 아니라 나중에 원전을 운영하는 인력도 1기당 350명 정도 있어야 한다. 특히 원전은 지역 주민 고용에 적극적이기 때문에 원전을 포기하면 지역 주민들이 타격을 많이 입는다. 2015년 기준 고리·한빛·월성·한울 4개 원전 본부 근무자 9748명 중 1543명(15.8%)이 인근 지역 주민이다.

고용뿐 아니라 원전을 운영하면 나오는 생산 유발 효과도 상당하다. '책임성 있는 에너지 정책 수립을 촉구하는 교수단'은 지난 5일 국회에서 가진 기자회견에서 "원전 운영과 건설로 한 해 36조2000억원 생산 유발 효과가 발생한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고 밝혔다.

정부가 작년에 낸 '원자력산업 실태 조사'에 따르면 원자력산업 분야 인력은 2006년부터 10년간 연평균 7.9% 증가했다. 2015년 국내 원자력산업 분야 전체 인력은 3만5330명으로 전년보다 1833명(5.5%) 늘었다. 연령별로 보면 30대가 1만2306명(34.8%)으로 가장 많았다. 20대 5478명(15.5%)까지 더하면 20·30대가 절반을 넘어선다.

황일순 서울대 교수는 "탈(脫)원전 정책으로 이런 인재들이 갈 곳이 없어지면 기술력이 회복하기 어려운 수준까지 떨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