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조선 수주 실적이 4월에 이어 5월에도 1위를 기록했다. 수주잔량(남은 일감)도 2년만에 처음으로 증가해 일본을 제치고 2위 자리를 되찾았다.

12일 영국의 조선·해운 시황 전문기관인 클락슨에 따르면 한국은 지난달 79만CGT(건조 난이도를 감안한 표준화물선 환산 톤수), 21척을 수주해 4월에 이어 2개월 연속 수주 1위를 기록했다. 중국은 32만CGT(17척), 일본은 8만CGT(3척)를 수주하는 데 그쳤다.

올 들어 5월까지 누계 수주 실적에서도 한국은 207만CGT(57척)로 1위를 차지했다. 올 1~4월 누계 수주 실적에서는 중국이 한국을 앞섰지만 5월들어 한국이 중국을 따돌렸다. 한국 다음으로 중국 184만CGT(101척), 이탈리아 74만CGT(8척), 핀란드 67만CGT(4척), 일본 38만CGT(18척) 순이었다.

이탈리아와 핀란드의 수주실적 증가는 크루즈선과 여객선 발주 때문이다. 이탈리아의 경우 핀칸티에리가 크루즈선 68만CGT(6척)를 수주했고 비센티니가 카페리선 2척의 수주 계약을 따냈다. 핀란드의 메이어 투르크 조선소도 2월과 5월에 각각 2척씩 총 4척의 크루즈선을 수주했다.

삼성중공업이 건조한 2만150TEU급 세계 최대 컨테이너선 MOL TRIUMPH 호.

한국은 지난달 수주잔량에서도 일본(1717만CGT)을 제치고 다시 2위로 올라섰다. 한국의 수주잔량은 4월말 1734만CGT에서 5월말에는 1749만CGT로 늘었다. 한국의 수주잔량이 전월보다 증가한 것은 2015년 5월말 이후 2년만에 처음이다. 수주잔량 1위는 중국(2576만CGT)이 차지했다.

조선업황의 바닥론에 힘을 실어주는 긍정적인 지표도 속속 나오고 있다. 5월 전세계 선박 발주량은 4월 85만CGT(34척)의 두배 규모인 166만CGT(50척)를 기록했다. 1~5월 전 세계 누적 발주량은 653만CGT(238척)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의 588만CGT(237척)보다 65만CGT 증가했다.

클락슨 신조선가지수는 3월 121포인트에서 4월 122포인트, 5월에는 123포인트로 2개월 연속 상승했다. 선가지수는 1998년 선가를 100으로 잡아 전 세계에서 새로 만든 선박값을 평균해 지수화한 것이다. 특히 초대형 유조선(VLCC) 가격이 4월 척당 8000만 달러에서 5월에는 8050만 달러로 50만달러 상승했다. VLCC 선가가 상승한 것은 2014년 5월 이후 3년만에 처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