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후보들과 직간접적으로 연결된 테마주 광풍은 대선 때마다 반복되는 일이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대선 테마주'가 본격적으로 등장한 것은 2002년 '16대 대선' 당시다. 당시 노무현 후보가 내걸었던 충청권 수도 이전 계획은 수많은 테마주를 쏟아냈다. 당시 계룡건설 등이 충청권 연고 기업으로 주목받았고, 충남방적·동양백화점·우성사료 등이 수도 이전으로 자산 가치가 올라갈 것으로 거론되며 주가가 치솟았다.

2007년 '17대 대선'은 정치 테마주의 범위가 크게 확장된 시기다. 당시 유력 대선 주자였던 이명박 후보의 한반도 대운하 공약을 등에 업고 중소 건설사들이 '대운하 관련주'로 소개되며 급등했다. 삼호개발·이화공영·동신건설은 운하 공사에 필요한 수중 면허를 가지고 있다는 이유로 주목받았다. 이화공영은 2007년 주가가 최고 33배까지 올랐다. 당시 정동영 후보가 내세웠던 공약인 '대륙철도'도 폴켐·코마스인 등 수많은 정치 테마주를 만들어냈다.

금융감독원이 지난 2012년 대선 기간 증시에서 관심을 모은 147개 테마주의 주가 추이를 분석한 자료를 보면 대선 테마주의 흥망성쇠를 잘 알 수 있다. 금감원에 따르면 18대 대선 후보의 윤곽이 드러난 2012년 6월 1일부터 2013년 12월 20일까지 18대 대선 관련 정치 테마주 147개 종목의 주가는 최고가 대비 평균 48% 떨어졌다. 이 가운데 '문재인 테마주'로 불렸던 우리들생명과학(―89.3%) 우리들제약(―88.0%) 위노바(―87.3%)와 '안철수 테마주'로 꼽히는 미래산업(―85.8%) 에듀박스(―80.2%) 등 6개 종목은 80% 이상 폭락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투자 수익은 결국 기업 경영 실적의 과실이라는 평범한 진리가 확인된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