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현 모두컴퍼니 대표

“도시 사회의 문제점인 주차공간 부족을 해결한다는 모두의 주차장 취지에 많은 분들이 공감했습니다. 다양한 곳에서 협력을 제안해왔고 소비자 편리와 공익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으면서 성장할 수 있게 됐습니다.”

김동현 모두컴퍼니 대표는 22일 서울 소공동 웨스틴조선 호텔에서 조선비즈와 인터뷰를 통해 주차장 공유 서비스 ‘모두의 주차장’이 성공을 하게 된 배경에 대해 이렇게 설명했다.

그는 조선비즈 주최로 열린 ‘스마트클라우드쇼 2016’에서 ‘테크놀로지와 도시혁신 그리고 공유경제’를 주제로 한 오픈토크에 패널로 참가했다.

모두의 주차장은 2013년 설립된 모두컴퍼니가 제공하는 서비스로 주차장과 관련한 첫 공유경제 모델이다. 사용자가 있는 곳에서 가장 가까운 주차장의 위치와 주차 요금을 알려준다. 주차비도 앱으로 결제할 수 있다. 자신이 안쓰는 주차 공간을 다른 사람에게 공유해 주는 주차공유 기능도 있다.

김 대표는 “공간이라는 고정되고 감가상각이 없는 모델을 통해 수익을 창출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면서 “내가 소비하지 않고 누구도 사용하지 않으면 기회비용이 사라져 버리는 것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면서 가치가 발생한다”고 말했다.

◆불법 주차 견인 경험이 아이디어...주차 O2O 시장은 블루오션

김 대표가 주차 서비스에 대한 아이디어를 떠올린 것은 자신이 경험했던 불편함에서 시작됐다. 그는 “누구나 잠깐 골목에 차를 세우고 볼 일을 보고 나왔는데, 차가 사라진 경험을 했을 것”이라며 “이런 불편함을 없애기 위한 아이디어를 고민하게 됐다”고 밝혔다.

그는 금전적 이득을 생각한 것이 아니라 주차와 관련된 사회 이슈를 해결하겠다며무작정 사업을 시작했다. 하지만 쉬운 건 하나도 없었다. 주차와 관련된 배경지식이 없었으니 전문성을 논하는 것 조차 부끄러웠다. 또 주차장은 다양한 이해관계가 얽히고 섥혀 있었다. 시설 관리, 법 규제 등 걸림돌이 너무도 많았다.

김 대표는 “예를 들어 서울시의 경우 구청별로 주차 관련 조항이 모두 다르다”면서 “구청은 또 주차관리를 민간에 위탁하기 때문에 주차 정보나 협력을 요청하기 위해선 여러 단계를 거쳐야만 한다”고 말했다.

25개 구청의 주차 단속 조항이 모두 다르다. 25개 구마다 25개의 서로 다른 사례가 발생했다. 김 대표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선 발로 뛰는 수 밖에 없었다”고 말했다.

현재 모두의 주차장 이용자수는 하루 3만명에 달한다. 서비스 지역도 서울과 경기 등 수도권을 비롯해 6대 광역시까지 넓히며 4300개의 주차장이 공유된다. 앱 다운로드 수는 56만건을 넘어섰다. 주차장 스마트 관제 시스템 구축은 물론 스마트폰 연동, 다양한 모바일 서비스와 연계한 기능을 확대했다.

김 대표는 “서비스가 확대되면서 어느정도 수익모델도 갖춰지게 됐다”며 “고정된 주차장의 위치 데이터를 지도를 서비스하는 포털에 공급해 수익을 얻고 있고 주차요금 결제 수수료로 이익을 창출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국내 주차장 시장 규모는 연간 2~3조원에 달한다”며 “작은 점유율만으로도 회사의 가치는 충분히 인정받을 수 있을 만큼 주차장 시장은 블루오션이라고 판단된다”고 말했다.

◆규제가 걸림돌...수면 위에서 논의하는 게 바람직

김 대표는 여전히 공유경제 서비스가 활성화되기 위해선 탈피해야 할 규제들이 많다고 지적한다. 각 지자체의 법규는 물론 사회적 인식, 또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사고들까지도 해결해야 할 과제들이다.

그는 “일례로 주차공유의 경우 주차장은 신고허가 없이도 가능하기 때문에 개방에는 문제가 없다”며 “하지만 주차장 관리법에 따라 사고가 발생하면 문제가 발생할 수 밖에 없을 뿐 아니라 세무적인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김 대표는 “아직 수면위에 올라오지 않은 이슈들이 발생할 여지가 높다. 때문에 이런 이슈들이 수면위로 올라와 다양하게 논의가 됐으면 좋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