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BK기업은행이 3800여명에 달하는 무기계약직 직원의 정규직 전환을 추진한다.

기업은행은 무기계약직의 정규직 전환을 위해 노동조합과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한다고 20일 밝혔다. 기업은행은 노조의 요청에 따라 TF를 구성했다고 설명했다.

기업은행은 정규직과 준정규직(무기계약직), 2년제 계약직, 전문 계약직 등으로 나눠 채용하고 있다. 준정규직은 정규직과 마찬가지로 정년을 보장받지만, 임금이나 수당 등 보수에서 정규직과 차이가 있다.

지난 1분기 기준 기업은행의 정규직 직원 수는 8362명, 무기계약직은 3854명, 비정규직은 373명이다. 올 기업은행 정규직 직원의 평균 임금은 8635만원이다. 무기계약직의 경우 평균 4029만원으로 책정됐다. 똑같은 업무를 하면서도 무기계약직 임금은 정규직의 절반 수준인 것이다.

기업은행 노조 관계자는 “무기계약직의 정규직 전환은 노조가 꾸준히 제기했던 사안”이라며 “이번에 TF를 구성해 무기계약직의 정규직 전환 방안을 논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KB국민·신한·우리·KEB하나 등 시중은행들은 지난해 이미 무기계약직의 정규직 전환을 마쳤다. 기업은행은 국책은행인 데다 예산권을 정부가 갖고 있어 정규직 전환 작업이 더디게 진행됐다. 기업은행 비정규직은 은행권 전체 비정규직의 50%를 차지할 정도로 많다.

기업은행 노조는 이번 TF 구성으로 무기계약직의 정규직 전환이 연내 이뤄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서울 을지로 기업은행 본점

◆ 최대주주 기재부·예산권 가진 금융위의 반대가 변수

정부의 반대가 변수다. 기업은행의 최대 주주는 기획재정부다. 기재부는 기업은행의 보통주 지분 51.81%(2억9010만9219주)를 보유하고 있어 기업은행 의사 결정에 적잖은 영향력을 보유하고 있다. 예산권은 금융위원회가 갖고 있다.

기업은행이 무기계약직을 정규직으로 전환하기 위해선 매해 수십억원의 추가 예산이 필요할 것으로 추산된다. 기재부와 금융위는 이미 기업은행에 무기계약직의 정규직 전환에 대해 부정적 의견을 전달한 것으로 전해졌다.

금융권 관계자는 “무기 계약직의 정규직 전환은 기업은행이 자체적으로 결정할 수 있는 사안이 아니다”며 “추가로 소요되는 예산이 만만치 않기 때문에 정부도 다소 난색을 표하는 것으로 안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