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향후 10년간 총 3400억원을 투자해 국내 뇌과학 역량을 미국, 일본 등 선진국 수준으로 끌어올리겠다는 계획을 세웠다. 특히 정부는 뇌질환 치료법 개발의 길잡이 역할을 해줄 뇌지도 개발에 집중할 예정이다. 뇌연구 활성화를 촉진시키기 위해 관련 제도도 개선된다.

미래창조과학부는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뇌과학 발전전략’을 수립해 30일 발표했다. 이진규 미래부 기초원천연구정책관은 “미국과 유럽, 일본 등은 뇌과학 분야에서 기술 경쟁력을 선점하기 위해 지난 2013년부터 국가 차원의 대규모 뇌연구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면서 “한국 정부는 지난해 하반기부터 전문가들과 함께 국내 뇌과학의 발전 방향과 실천 과제 등을 마련해 왔다”고 말했다.

주요 국가별 뇌지도 작성 프로젝트 현황

먼저 미래부는 뇌의 구조적·기능적 연결성을 시각화한 데이터베이스(DB)인 ‘뇌지도’를 제작하기로 했다. 뇌지도가 확보되면 특정 뇌부위의 변화뿐 아니라 이와 긴밀하게 연관된 뇌질환을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다. 이 정책관은 “최근 국소 뇌자극술 등 새로운 개념의 뇌질환 치료 기술이 속속 개발되고 있다”면서 “뇌지도는 뇌의 어떤 부위를 자극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정확한 좌표를 제공해줄 것”이라고 전했다.

미래부는 나노매핑, 뇌투명화, 시냅스 형성 여부 전자현미경 관찰법 등 이미 확보한 기술들을 바탕으로 오는 2023년까지 ‘고위 뇌기능 특화지도’와 ‘노화 뇌질환 특화 뇌지도 2종을 우선 완성한다는 방침이다. 이 두 가지 뇌지도가 확보되면 고등 인지기능 연구의 첫 관문인 대뇌피질(후두정엽) 설계도를 개발할 수 있다는 게 미래부의 설명이다.

또 정부는 전문 연구인력 양성을 위한 프로그램을 확대·운영하기로 했다. 국가 연구개발(R&D) 사업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학‧연 협력 프로그램을 늘리고, 인공지능(AI)‧컴퓨터‧계산과학 등 이종 분야 간 융합인재를 키우기 위한 학부 및 대학원 프로그램을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병원 이외의 연구기관에서 뇌조직을 이용한 뇌연구가 가능하도록 제도도 개선된다. 이 정책관은 “연구용 뇌조직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고 관련 연구가 활성화 될 수 있도록 관리체계를 마련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2016년 현재 국내 뇌연구비 규모는 1331억원 수준이다. 미래부는 이번에 발표한 뇌과학 발전전략 실행을 위해서는 향후 10년간 총 3400억원 규모의 신규 재정 투자가 필요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중 뇌지도 구축에는 1900억원 정도가 필요하다. 이 정책관은 “앞으로 재원 마련 방안을 재정당국과 협의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정부 계획대로라면 2014년 기준으로 선진국의 72% 수준인 국내 뇌과학 역량은 2023년까지 90% 수준으로 올라간다. 홍남기 미래부 제1차관은 “뇌분야는 인류가 해결해야 할 미지의 영역인 동시에 차세대 블루오션 중 하나”라며 “그간 뇌분야에서 거둔 성과를 바탕으로 뇌과학 신흥강국으로 거듭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