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이르면 오는 7월 우리은행 지분 매각 공고를 내고 우리은행 민영화 작업에 본격 착수한다.

30일 금융당국과 우리은행 등에 따르면, 우리은행 매각 방안을 준비 중인 금융위원회는 다음 달 13일 공적자금관리위원회에 매각 방안을 보고한다. 매각 작업은 지난해 발표한 과점주주 매각 방식에 따를 가능성이 높다. 예금보험공사가 보유한 우리은행 지분을 4~10%씩 쪼개 판다는 뜻이다.

이번 매각 작업은 지난 2010년 이후 계속 불발에 그쳤던 우리은행 민영화를 위한 다섯 번째 시도다. 정부는 지난해 과점 매각 방안을 내놓으면서 우리은행 지분 30~40%를 팔겠다고 발표했으며, 현재 구체적인 매각 비율을 조율 중이다.

정부가 우리은행 매각에 재시동을 건 이유는, 최근 이광구 우리은행장이 미국에서 진행한 투자설명회(IR)가 결정적인 계기가 됐다. 올 초 유럽 IR 때와 달리 투자자의 상당수가 정부의 재매각 방침에 큰 관심을 보였기 때문이다. 이 행장도 최근 직원들에게 “9월 중 (민영화 작업이) 가시화 될 전망”이라며 이번 매각 추진에 긍정적인 입장을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 우리은행 매각 1년여 만에 시동

우리은행은 이번 매각 공고를 기점으로 투자자들이 관심을 보이기 시작하면 지분 매각이 탄력을 받을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다.

정부는 지난해 말까지 매각 협상 전담팀을 꾸리고 아부다비투자공사(ADIC) 등 중동계 국부펀드와 지분 매각 협상을 벌이기도 했다. 하지만 유가 급락으로 국부펀드들이 해외 투자 계획을 보류하자, 우리은행 매각 계획도 원점으로 돌아왔다. 지난해 우리은행의 주가가 줄곧 1만원 선을 밑돌아 '헐값 매각' 논란이 생길 수 있다는 점도 정부가 적극적으로 매각에 나서지 못한 주요 요인이었다.

그러나 최근 우리은행 주가가 주당 1만원을 넘어서는 등 탄력을 받기 시작하면서 분위기가 달라졌다. 임종룡 금융위원장이 지난 4월 국장단 회의에서 매각 방안을 보고 받는 등 정부 내에서도 우리은행 매각 재시동을 위한 분위기가 조성됐다.

우리은행은 민영화가 다급한 처지다. 우리투자증권, 경남은행, 광주은행 등 주요 자회사를 매각하면서 금융지주 체제가 해체된 상태로 은행만 홀로 남았기 때문이다. 새 주인을 맞아야 계열사 확충 등에도 나설 수 있다. 현재 우리은행은 우리투자증권과 2개의 지방은행 등 8개 계열사를 매각하고 종가(宗家) 격인 우리은행만 남은 상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