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삼성전자와 현대자동차, 네이버 등 국내 주요 대기업과 힘을 합쳐 민간 주도의 지능정보기술 연구소를 설립한다. 이세돌 9단과 알파고의 바둑 대결로 화제가 된 인공지능뿐 아니라 빅데이터, 사물인터넷(IoT), 클라우드 등 정보사회를 이끌어갈 차세대 기술들을 기업이 중심이 돼 집중 육성하겠다는 전략이다.

박근혜 대통령은 17일 지능정보기술 관련 기업인과 전문가 20여명을 청와대로 초청해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 자리에는 유일호 경제부총리와 이준식 사회부총리, 최양희 미래창조과학부 장관 등 관계 장관과 김진형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장, 김대식 카이스트(KAIST) 교수 등 총 40여명이 참석했다.

포토핀 제공

이번 간담회에서 최양희 장관은 ‘지능정보산업 발전전략’에 관한 주제보고를 했다. 최 장관은 “민간 주도로 기업형 지능정보기술연구소를 설립하고 정부는 연구비를 지원할 것”이라며 “전문인력 확충, 데이터 인프라 구축, 산업 생태계 조성 등을 위해 향후 5년 간 총 1조원을 투자하겠다”고 말했다.

우선 지능정보기술 연구소는 정부와 민간 기업이 보유한 연구 역량과 데이터를 하나로 결집하기 위해 설립된다. 민간 기업이 출자해 기업형연구소를 설립하면, 정부는 핵심 연구개발(R&D) 추진에 필요한 연구비를 지원할 계획이다. 김용수 미래부 정보통신정책실장은 “현재까지 삼성전자, LG전자, SK텔레콤, KT, 네이버, 현대자동차 등 6개 기업이 연구소 설립에 참여하기로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지능정보기술 연구소는 핵심 지능정보기술을 확보하는 동시에 이를 각 산업 분야에 적용하기 위한 응용기술 연구를 병행한다. 정부는 연구인력이 스핀오프(Spin-off)해 스타트업으로 창업하는 구조를 활성화할 방침이라고 전했다.

최 장관은 지능정보사회에서 데이터분석 전문가, 인공지능 소프트웨어 개발자 등 새로운 수요 창출이 기대되는 분야의 전문인력을 집중 양성하겠다는 계획도 보고했다. 현재 정부가 추진 중인 소프트웨어 중심대학과 대학 정보통신기술(ICT) 연구센터, 소프트웨어 스타랩 사업 등을 활용하고 해외 우수인력도 확보해 영입한다는 방침이다.

그간 정부와 기업, 연구소가 제각기 축적한 데이터를 공유하고 세계 최고 수준의 데이터 인프라를 구축하는 작업도 진행된다. 의료, 문화, 금융 등 각 분야별로 정부와 민간 기업이 보유한 데이터 정보를 알려주는 ‘데이터 소재정보 서비스’를 마련하고, 언어⋅시각⋅감성 등 지능 분야별 연구용 데이터베이스(DB)와 의료·법률·특허 등 전문지식 분야 DB를 구축할 예정이다.

최 장관은 “향후 5년 간 총 1조원을 투자하고, 이를 마중물 삼아 2조5000억원의 민간 투자(5년 기준)를 유도하겠다”면서 “지능정보사회 추진 중장기 종합계획을 수립해 오는 6월 1차 보고할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