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평균 아파트 전세금이 4억원 선을 눈앞에 두고 있다.

집주인의 전세 기피현상이 이어져 전세 물건이 줄었고, 이에 따라 가격이 급격히 치솟았기 때문이다. 올해 공공 임대 아파트가 전국에서 11만7000가구 선보일 계획이지만,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이라 여전히 전세수요를 충당하기에 부족해 보인다. 주거비용 역시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서울 아파트 평균 전세금이 올 1월 기준으로 3억9741만원을 기록했다. 올해도 전세난이 심화되면서 월세거래가 늘고, 주거비용도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2일 KB국민은행 부동산이 집계한 자료를 보면 올해 1월 말 기준으로 서울 아파트 평균 전세금은 3억9741만원을 기록했다. 한 달 만에 무려 5.13% 증가한 것이다. 이 추세면 다음 달에는 서울 아파트 평균 전세금이 4억원을 돌파할 것으로 전망된다. 아파트의 대안으로 꼽히는 서울 연립주택 전세금도 1억6565만원으로 지난해 12월보다 3.24% 올랐다.

전세 물건이 씨가 마르면서 월세 거래량도 늘고 있다. 서울시 부동산정보광장을 보면 1월 서울 아파트 월세 거래량은 총 4687건을 기록해 지난해 1월보다 17.65% 증가했다. 준전세 증가 추세도 가파르다. 지난달 서울 아파트 준전세 거래량은 2410건을 기록해 작년 1월(1591건)보다 51.48% 늘었다. 국토부는 보증금이 전세금의 60%를 초과하는 경우를 준전세로 정의하고 있다.

‘탈서울’ 현상도 가속화되고 있다. 높은 전세금을 감당하지 못한 전세 난민들이 조금이나마 전세금이 싼 경기도로 이주하는 것이다. 통계청이 지난달 27일 발표한 ‘2015년 국내인구이동통계’ 자료를 보면 2015년 한 해 동안 서울에서 13만7000여명이 순유출돼 1997년 이후 18년 만에 가장 많은 수치를 기록했다. 반면 경기도로 9만4800명이 순유입돼 5년 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다. 이런 추세라면 올해 서울 인구가 1000만명을 밑돌게 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2015년 한 해 동안 전세난으로 서울에서 13만7000여명이 순유출됐다. 이는 1997년 이후 18년 만에 가장 많은 수치다.

국토교통부는 올해 공공건설임대주택 7만2000가구와 매입·전세임대주택 4만5000가구를 포함해 총 11만7000가구의 임대주택 입주자를 모집할 계획이라고 1일 밝혔다. 지난해 초 정부가 계획한 공공임대주택 물량은 12만가구. 2014년보다 36% 늘어난 역대 최대 수준이었다. 하지만 전세난은 해결되지 않았다. 이 때문에 전문가들은 올해도 임대주택 공급량이 전세수요를 따라가지 못할 것으로 보고 있다.

기업형 임대주택(뉴스테이) 등 중산층을 위한 임대주택이 올해 잇따라 공급될 예정이지만, 전세난의 근본적인 해법이 될 수 없다는 지적도 있다. 뉴스테이의 경우 주변 지역과 비교하면 임대료가 낮은 수준이라지만, 기본적으로 월세 구조라 가계 재정에 부담이 되기 때문이다. 입주도 2018년부터 본격적으로 시작해 당장 전세난을 해결하는데 도움이 되지 않는다.

서울 아파트 평균 전세금 추이.

올해 주거비용도 꾸준히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통계청의 ‘2015년 3분기 가계동향’ 자료를 보면 가구당 실제주거비는 7만5400원을 기록해 전년 같은 기간보다 23.5% 늘었다. 관련 통계를 집계한 이후 가장 높은 수치였다. 전세와 자가 가구의 주거비가 0원으로 잡히기 때문에 가구당 실제주거비는 이보다 더 높을 것으로 보인다.

박상욱 우리은행 WM자문센터 부동산팀장은 “올해 주택시장은 정부 대출규제와 미국 금리 인상, 세계 금융시장 침체에 따른 부정적 영향을 많이 받을 것으로 보인다”며 “특히 유례없는 전세난이 일어나면서 실수요자 입장에서 집을 사야 할지, 전·월세로 가야 할지 고민스러운 상황이 펼쳐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