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유럽 국가인 노르웨이는 석유 매장량과 함께 풍부한 어족 자원을 자랑하는 나라다. 인구 500만명에 불과한 노르웨이의 연간 수산물 수출액은 100억달러(약 11조원)에 이른다. 한국의 연간 수산물 수출액인 2000억원의 20배를 넘는다.

노르웨이 수산업에 위기가 없었던 것은 아니다. 노르웨이가 1995년 유럽연합(EU) 가입을 거부하면서 노르웨이 수산물 수출은 타격을 받았다. EU 참가국들이 노르웨이 수산물에 높은 관세를 매겼기 때문이다. 기존의 원양어업에 기대서는 도저히 수지타산이 맞지 않는 상황이었다.

노르웨이는 '양식(aquaculture)'으로 돌파구를 찾았다. 정부 주도 아래 어부들이 특정지역에서 양식할 수 있는 권한을 주고,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등 '기업형 양식업자'를 체계적으로 육성해 세계 최초로 대규모 상업 양식장을 도입했다. 또 양식업자들이 은행과 투자자로부터 자금을 원활히 조달할 수 있도록 지원했다. 특히 과학적인 최첨단 양식 시스템을 구축해 생산량, 품질, 맛 등 3가지 경쟁력을 확보하는데 성공했다. 노르웨이 양식 연어는 자연산 연어보다 지방산·오메가3 등이 풍부해 비싸게 팔리고 있다.

그 결과 1970년대만 해도 노르웨이 전체 어획량에 기여도가 전혀 없던 양식업은 그 비중을 70%까지 늘렸다. 그 뿐만 아니라 축적한 양식 노하우와 기술까지 해외에 수출하고 있다. 마린하베스트, 에보스 등 대형 양식업체들의 연간 매출은 각각 2조~3조원에 이른다. 노르웨이는 테스트베드(TestBed) 전략으로 양식을 거대한 산업으로 키우는데 성공했다.

◆ 노르웨이 정부의 '테스트베드'가 첨단 양식 시스템 뒷받침

노르웨이는 정부 주도로 첨단 양식 관리시스템 구축에 나섰다. 물고기 먹이나 영양을 연구해 양식 시스템에 적용하고 사료 공급과 물의 염분 측정 등 전 과정을 모니터링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또 연어 사료에 들어갈 단백질, 탄수화물, 비타민, 미네랄 등 영양소 비율을 최적으로 맞추고 수은과 다이옥신은 물론 양식에 사용된 의약품 잔여물, 미생물과 기생충까지 검사하는 시스템을 갖췄다. 사료부터 조사가 철저하게 이뤄져 사실상 수산물의 생산부터 유통까지 전 과정을 관리하는 셈이다.

노르웨이 정부는 물고기와 사료의 품질을 높이는 연구를 지원하기 위해 매년 1000억원 가량을 투자한다. 또 수산업부문 연구개발을 촉진하기 위해 1990년에 국립 영양수산물연구소(NIFES)를 설립했다. NIFES는 관련 산하 기관들의 연구결과를 양식업자들에게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노르웨이 호르달란주 소트라 마린하베스트 연어양식장에서 할도스 슬토이 양식장 소장(사진왼쪽)이 양식 중인 연어를 보여주기 위해 그물망으로 잡고 있다.

노르웨이는 이렇게 축적한 양식 노하우와 기술을 수출한다. 특수 소재로 제작한 어망부터 가두리 양식장에 있는 물고기 수를 세는 ‘카운터’, 물고기들의 건강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카메라와 센서, 물고기의 상태에 따라 사료량을 조절하는 시스템까지 다양한 기술을 판다.

스마트 양식산업 전문가 최재원 부산대 기계공학부 교수는 “노르웨이 정부가 기업에 기술을 이전하는 것은 물론, 대사관을 통해 해외 각국에 세일즈도 적극적으로 펼친다”며 “반도체 공정처럼 자동화 첨단화한 양식업의 필요성이 늘고 있어 세계 각국의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고 말했다.

양식업은 수산업의 미래로 각광 받고 있다. 유엔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세계 어획량은 1980년대부터 연간 9000만t 수준에서 멈춰있다. 양식업은 수산 자원 고갈에 대한 해답을 제공하고 수입 대체 효과를 거둘 수 있는 수익 사업이다.

명정인 국립수산과학원 전략양식연구소 양식관리과장은 "1980년대 들어 양식 육성을 위한 법안이 생겼지만, 양식업이 기업화된 노르웨이 등과 달리 국내 양식업은 여전히 개인 위주다”라고 지적했다.

◆ 동일본 지진 후 스마트그리드 속도 내는 일본

2011년 3월 11일 일본이 크게 흔들렸다. 일본 동부에서 발생한 지진으로 기반시설이 무너지면서 아오모리, 아키타, 이와테 등 3개 현 전역에 전기가 끊겼고, 이 지역 주민들은 어둠 속에 갇혔다. 후쿠시마 제1원전의 폭발을 야기한 동일본 대지진이 남긴 흔적들이었다.

일본은 원전 사고와 사상 초유의 전력 부족 사태를 새로운 도전으로 받아들였다. 일본 정부와 기업은 소비전력을 실시간으로 파악해 전력 낭비를 없애는 ‘스마트그리드’의 실용화를 서둘렀다. 전력산업에 정보기술(IT)을 활용한 스마트그리드 기술은 각국 정부가 막대한 재정을 들여 연구하는 차세대 송전(送電) 기술이다.

일본 요코하마시는 스마트하우스연구회를 설립해 스마트그리드 기술을 적용한 주택 보급에 집중하고 있다. 아이치현과 미야기현도 에너지 관리와 재난 대응 시스템 등을 중심으로 스마트 시티 구축 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일본 교도(共同)통신은 전국적으로 계획단계인 사업을 포함해 20여건의 스마트그리드 프로젝트가 진행 중이며 이로 인한 시장규모는 올해 1조엔(약 15조원)에 달할 것으로 추정했다.

코트라 관계자는 “앞으로 전 세계 경제 흐름은 에너지 절약 기술과 주거양식이 결합된 상품이 주도할 것”이라며 “일본이 먼저 기술 실용화에 성공한다면 세계 시장에서 큰 비중을 차지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우리나라 기업들도 뒤처지지 않도록 치밀한 전략수립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