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출시되는 자동차에는 다양한 정보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는 장비가 많다. / 플리커

최근 출시되는 자동차에는 스마트폰과 연동되는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을 비롯해 GPS 정보 및 위치 정보 등 모바일 인터넷으로 연결한 원격 시동, 사고 발생 시 자동으로 응급 구조 시스템에 연결되는 기능 등 첨단 사양들이 대거 적용되고 있다. 엔진이나 전기차의 배터리 상태를 점검하는 기술도 나오고 있으며 운행 정보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주고받아야 하는 무인자율주행차도 몇 년 안에 도입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처럼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첨단 기술이 운전자의 안전을 목적으로 속속 등장하고 있지만 정작 운전자의 개인정보 유출을 막기 위한 대응책은 아직 마련되지 못했다. 이런 상황에서 최근 유럽의 자동차 관련 소비자 단체가 흥미로운 연구 결과를 공개해 관심을 끌고 있다.

유럽의 자동차 소비자 단체인 FIA는 지난 25일(현지시간) BMW 일부 차량을 대상으로 제조회사가 어떤 개인정보를 자동차를 통해 수집하는지 연구, 분석한 결과를 공개했다.

FIA의 분석 결과에 따르면 BMW는 운전자의 운전 스타일, GPS 위치 정보, 스마트폰과 연동되는 목적지 정보를 수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전기차인 BMW i3의 경우 배터리 상태 정보까지 기록하는데, 가장 최근에 배터리를 충전한 곳과 약 100여 군데의 주차 지역까지 파악될 정도였다.

FIA는 “수집된 일부 데이터로 제조사는 운전자의 행동 일지를 얻을 수 있다”며 “문제는 데이터가 자동차 수리나 사용 이력, 긴급 사고시 응급 구조 시스템 등에 사용되지만 운전자에게는 제공되지 않고 있다는 점”이라고 밝혔다.

유럽의 자동차 제조회사협회(ACEA)는 “제조사들은 네트워크와 연결된 자동차의 서비스를 위한 별도의 데이터 보호 원칙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지 않는다”며 “스마트폰이나 컴퓨터 관련 분야에서도 일반적인 개인정보보호 규제를 따를 뿐 별도의 특정 규제를 두고 있지 않다”고 입장을 밝혔다.

이에 대해 FIA는 “소비자가 직접 자동차와 인터넷에 연결될 수 있는 통신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어야 한다”며 “지금은 자동차 제조회사가 특정 통신사와 함께 폐쇄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개인 정보 유출에 대한 우려도 높아지고 있다”고 주장했다.

FIA는 또 자동차 제조사가 수집하는 데이터에 대한 연구와는 별도로 12개 유럽 국가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 결과도 공개했다. FIA에 따르면 95%의 응답자들이 자동차와 운전자 데이터에 대한 법령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대부분의 응답자들은 운전 관련 데이터를 확보하기를 원했고 필요할 경우 자동차에 연결된 인터넷 기능을 끌 수 있기를 바란다고 FIA 측은 전했다.

한편 유럽 사이버보안 기구인 ENISA는 지난달 자동차와 운전자의 데이터 수집과 보안에 대한 대책 논의를 위해 자동차 제조회사들과 협력해 나갈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