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가 한국거래소를 지주회사 체제로 전환하는데 합의했다. 이에 따라 올해 안에 관련 법안이 통과될 경우 내년 거래소 지주회사의 기업공개(IPO)와 상장 작업도 빠르게 진행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거래소는 지주사 전환과 상장을 마치면 해외 거래소들과의 지분 교환 등을 통해 글로벌 거래소 시장에 적극 진출할 계획이다.

◆ 野 상장차익 환원 요구…진통 끝 합의 도출

국회 정무위원회는 27일 법안심사소위원회를 열어 여야 간사 합의를 통해 거래소의 지주회사 전환 등의 내용을 담은 ‘자본시장과 금융투자법에 관한 법률(이하 자본시장법)’의 일부 개정안을 처리하기로 했다.

당초 무난히 통과될 것으로 예상됐던 자본시장법 개정안은 최근 거래소의 지주사 전환과 관련해 정치권이 이견을 보이며 여야 합의까지 이르는데 진통을 겪었다. 거래소가 상장 이후 얻게 될 차익을 어떻게 사회에 환원할 지를 두고 의견이 엇갈린 것이다.

김기식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은 “지금까지 거래소가 독점적인 지위를 이용해 얻었던 이익을 상장 이후 사회에 어떤 방식으로 환원할 지에 대한 계획이 먼저 수립돼야 한다”며 “이에 대한 구체적 합의 없이 거래소의 지주사 전환에 동의하기 어렵다”고 주장했다.

여야가 개정안 처리에 합의하지 못한 채 의견 대립이 계속되자, 최경수 한국거래소 이사장과 황영기 금융투자협회장은 유상호 한국투자증권 사장 등 일부 증권사 사장단과 지난 25일 긴급 회동을 갖고 어떻게 대응할 지에 대해 논의하기도 했다.

이날 여야는 쟁점이 됐던 거래소의 상장 차익 환원 문제를 국회 속기록으로 남긴 뒤 거래소와 금융위원회가 주주 증권사들과 충분히 합의해 구체적인 환원 규모를 결정하기로 뜻을 모았다.

◆ 상장 이후 거래소, 해외 거래소 시장 진출 빨라질 듯

최경수 한국거래소 이사장은 “올해 자본시장법이 통과되면 내년 중 지주회사 체제 전환을 마친 후 IPO에 나설 예정”이라고 말했다. 거래소의 글로벌 시장 진출이 제대로 속도를 내고 성과를 얻기 위해서는 최대한 빨리 거래소의 상장 작업이 마무리되어야 한다는 입장이다.

현재 거래소가 가장 중점을 두고 있는 것은 해외 거래소와의 지분 교환을 통한 전략적 제휴와 현지 자본시장 진출이다.

대부분 상장이 돼 있는 해외 거래소들과 달리 한국거래소는 지난해까지 공공기관으로 분류돼 있었다. 거래소와 금융위 측은 이 때문에 한국거래소의 지분 가치가 낮아 해외 거래소들과 제대로 된 파트너십을 구축하지 못했다는 입장이다. 따라서 내년 중 상장을 거쳐 지분 가치가 크게 높아질 경우 해외 거래소들과 지분 교환을 거쳐 현지 시장에 진출하는 것이 빨라질 것으로 보고 있다.

거래소는 특히 인도네시아와 베트남, 캄보디아, 라오스 등 최근 성장하고 있는 동남아시아 국가에 진출하는데 관심을 두고 있다. 거래소 관계자는 “특히 2억5000만명이 넘는 인구와 원자재 수출량이 많은 인도네시아의 경우 아직 파생상품 거래소가 없기 때문에, 앞으로 한국거래소가 상장을 마친 뒤 전략적 제휴를 거쳐 다양한 사업을 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