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수십억원을 들여 개발한 청소년 유해정보 차단 애플리케이션(앱) '스마트보안관' 서비스를 중단했다고 1일(현지 시각) AP통신이 보도했다. 보안 결함을 지적받아온 스마트보안관의 문제를 끝내 해결하지 못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스마트보안관을 보급해 온 방송통신위원회 고위 관계자는 최근 “스마트보안관 앱이 구글의 콘텐츠 장터인 플레이스토어에서 삭제됐다”며 “방통위는 기존 스마트보안관 사용자에게 다른 앱을 사용해 달라고 당부했다”고 밝혔다고 AP는 전했다.

스마트보안관은 방통위가 2013년부터 30억여원 예산을 들여 부모가 청소년 자녀의 스마트폰 이용 현황과 이용 시간을 조회·관리해 유해정보를 접촉하지 못하도록 하는 앱이다. 스마트보안관은 지난 7월 기준 SKT 5만7217건, KT 20만2041건, LGU+ 12만709건, 알뜰폰 전체 7557건 등 38만7524건이 설치돼 이용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하지만 앱은 심각한 보안 결함으로 해커로부터 원격조정을 당해 이용자의 전화번호, 생일, 웹 방문기록 등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앞서 독일 보안업체 '큐어53'(Cure3)과 인터넷 감시 시민단체인 '시티즌랩'은 지난 9월 보고서에서 스마트보안관 앱의 보안 결함이 심각해 보안등급(SSL 구축) 평가에서 최하위인 F등급을 맞을 것이라고 전망하며 "보안이랄 것이 전혀 없고 근본적으로 망가진 앱"이라고 비판했다.

이 앱 개발을 맡은 한국무선인터넷산업연합회(MOIBA)는 이에 대해 보안상 결함을 수정했다고 밝혔지만, 시티즌랩 보고서를 작성한 보안전문가 콜린 앤더슨은 1일 나온 최근 보고서에서 “수정이 겉치레 수준에 그쳐 문 몇 개에 자물쇠를 달아놓고는 열쇠를 밖에다 던져둔 격”이라고 비판했다.

지난달 국정감사에서도 국회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 소속 송호창 의원(새정치민주연합)이 같은 내용으로 보안 결함을 지적한 바 있다.

방통위는 “지난달 모든 이통사가 음란물 차단 앱을 무료로 보급하기 시작했기 때문에 플레이스토어에서 삭제했을 뿐”이라며 “문제와 관계없이 예정된 일정에 따른 조치”라고 밝혔다. MOIBA는 이번 서비스 중단에 대해 언급을 거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