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 A씨는 지난달 '우리금융, 무보증으로 3000만원까지 승인 가능'이라는 문자를 받았다. 마침 2000만원 정도가 필요했던 A씨는 전화 상담 후, 보내달라는 서류를 모두 팩스로 넣어줬다. A씨는 '우리금융'이라는 말에 우리은행 관련 회사에서 돈을 빌려주는 줄 알고 안심하고 있었다. 하지만 서류를 보내고 며칠 뒤 대부업체 4~5군데로부터 "대출 신청했느냐"는 전화가 걸려오기 시작하며, 하루에만 10통 가까운 대출 권유 전화와 수십 통의 스팸 문자에 시달리고 있다.

직장인 B씨는 최근 모 대부업체 대출상담원이라는 사람에게서 "현재 받고 있는 연 20%대 금리의 캐피털 업체 대출을 연 8%대의 낮은 금리 대출로 갈아타게 해주겠다"는 전화를 받고 대부업체 대출을 새로 받았는데, 나중에 보니 이율이 연 30%대였다. 사기를 당한 셈인데 대출상담원이 종적을 감춰 난감한 상황에 놓였다.

A씨와 B씨처럼 최근 한 달 사이 금융권에 개인정보가 유출되거나 대출 사기를 당하는 등의 사금융 피해 사례가 늘고 있다. 8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달 대출 사기와 미등록 대부업체와 관련해 접수된 피해 신고 건수는 각각 20.6%(1960→2364건), 15.7%(83→96건) 증가했다.

전문가들은 최근 사금융 피해가 다시 급증한 주요 원인 중 하나로 대부업체에 대한 TV 광고 규제를 꼽는다. 금융 당국은 대부업체들의 자극적인 대출 광고가 "빚을 부추기는 사회적 분위기를 만들고, 청소년이 채무에 대한 잘못된 인식을 갖게 한다"며 8월 말부터 시간대 규제를 하고 있다. 평일 오전 7~9시, 오후 1~10시, 주말·공휴일 오전 7시~오후 10시에는 대출 광고를 할 수 없다. 대부업체들이 TV 광고를 못하게 하자 대출 중개업체를 통한 영업 비중을 늘렸고, 대출 성사 건당 5%의 수수료를 받는 중개업체들이 공격적으로 뛰어들면서 각종 부작용이 나타나고 있다는 것이다. 단국대 심지홍 명예교수는 "대출 광고의 내용과 양을 조절할 필요는 있지만 광고 규제와 함께 부작용을 컨트롤하는 정책도 병행돼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