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노벨 화학상은 우리 몸에서 일어나는 DNA 복구 원리를 알아낸 3명의 과학자가 수상하게 됐다.

스웨덴 왕립과학원 노벨 화학상 선정위원회는 우리 몸의 DNA 복구 원리를 알아낸 토마스 린달(Tomas Lindahl·77·사진 왼쪽부터) 영국 프랜시스 크릭 연구소 박사와 폴 모드리치(Paul Modrich·69) 미국 듀크대 교수, 아지즈 산자르(Aziz Sancar·69) 미국 노스캐롤라이나대 교수 등 3명을 노벨 화학상 수상자로 선정했다고 7일(현지시각) 밝혔다.

예전에는 인간의 DNA가 매우 안정적이라고 인식됐다. 하지만 1970년대부터 DNA가 생각보다 안정적이지 않다는 사실이 알려지기 시작했다. 자외선에 의해 망가지기도 하고, 스스로 붕괴하는 경우도 있으며, 독성 물질에 의해 손상되기도 한다는 것이다.

세포의 유전자에서는 매일 수천번의 변화가 일어난다. 또 우리 몸속에서 하루에 수백만번씩 일어나는 세포 분화 과정에서 DNA가 제대로 복제되지 않는 경우도 종종 생긴다. 수상자들은 이런 문제가 생겼을 때 우리 몸이 이것을 어떻게 스스로 복구하는지를 알아냈다. 손상된 DNA가 제대로 복구되지 않으면 암 등 질병에 걸리게 된다.

린달 박사는 ‘염기 절제 복구(Base excision repair)’를 알아낸 과학자다. DNA에서 손상된 염기만 뜯어내 정상화하는 작용이다. 모드리치 교수는 ‘부정합 복구(Mismatch repair)’를 알아냈다. DNA의 염기는 쌍을 이룬 이중 가닥으로 돼 있다. 복제 과정에서 잘못된 짝을 만나는 경우가 있는데, 이것을 스스로 복구하는 작용을 밝힌 것이다.

산자르 교수는 ‘뉴클레오타이드 절제 복구(Nucleotide excision repair)’를 알아낸 공로를 인정받았다. 자외선 등으로 손상된 DNA의 뉴클레오타이드 전체를 뜯어내 복구하는 작용이다. 만약 이 기능이 작동하지 않으면 피부암 등에 걸릴 수 있다.

린달 박사는 1938년 스웨덴에서 태어나 1967년 스웨덴 카롤린스카 연구소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1978년부터 1982년까지 예테보리대에서 생화학 교수로 재직했다. 이후 영국 프랜시스 크릭 연구소에서 명예수석연구원으로 있다.

모드리치 교수는 1946년 미국에서 태어나 1973년 스탠퍼드대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하워드휴스 의학연구소 연구원과 듀크대 생화학 교수로 근무하고 있다.

산자르 교수는 1946년 터키에서 태어나 미국과 터키의 시민권을 갖고 있다. 1977년 미국 텍사스대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노스캐롤라이나대에서 생화학 교수로 근무하고 있다.

이들은 노벨상 창시자인 알프레드 노벨이 새겨진 메달과 함께 상금 800만 크로네(약 11억2000만원)를 3분의 1씩 나눠 받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