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금융 정책의 신뢰도가 여전히 ‘낙제점’인 것으로 나타났다.

7일 한국금융연구원(KIF)이 일반 국민 100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진행해 작성한 ‘하반기 KIF 금융신뢰지수’에 따르면, 금융감독당국의 감독 효율성은 63.4점으로 9개 항목 중 8위를 기록했다.

금융감독당국의 감독이 ‘효율적이지 않다’고 응답한 비중은 59.7%에 달했다. 금융정책 적정성도 73.2점으로 항목 순위 7위에 그쳤다. 응답자 중 50.6%는 ‘금융정책이 적정하지 않다’고 답했다.

서병호 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항목 중 하위권에 있는 금융감독 효율성과 금융정책의 적정성 항목은 개선이 필요하다”며 “금융산업의 건전성과 금융정책의 일관성을 유지해야 한다”고 말했다.

KIF 금융신뢰지수는 금융산업 신뢰에 영향을 주는 요소 중 일반 국민 대상 설문조사로 측정 가능한 9개 항목으로 구성됐다. 200점 만점 기준으로 100점이면 ‘중립’, 100점보다 높으면 ‘긍정적’, 100보다 낮으면 ‘부정적’으로 해석한다.

금융회사에 대한 신뢰도는 다소 개선된 것으로 조사됐다. 금융회사의 고객 서비스는 상반기보다 7.1점 상승한 100.2점을 기록해 9개 항목 중 1위를 차지했다. 금융 종사자에 대한 신뢰도는 97.6점으로 상반기 대비 7점이 올랐으며, 금융제도의 공정성과 합리성 항목도 84.9점으로 상반기보다 8.3점 상승했다.

서 연구위원은 “금융회사 자율성 제고와 핀테크 육성, 계좌이동제 시행, 인터넷 전문은행 도입 등으로 금융 신뢰성이 회복된 것으로 보인다”며 “금융감독당국의 소비자 보호 노력도 신뢰지수 개선에 기여했다”고 분석했다.

국내 경제 상황 항목은 58.7점으로 9개 항목 중 최하위를 기록했다. 응답자 중 ‘국내 경제 상황이 나빠졌다’고 응답한 비중은 63.6%에 달했다. 개인 경제 사정 항목은 82.2점(4위)으로 조사됐다.

이번 금융신뢰지수 집계를 위한 설문조사는 한국갤럽이 담당했으며, 지난 8월19일~9월1일, 14일간 전국 만 19세 이상 일반국민 1000명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이번 조사의 신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오차범위 ±3.5%포인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