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통신위원회는 긴급상황에서 생존자의 위치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는 ‘와이파이(WiFi) 위치정보 활용 플랫폼’ 서비스를 25일부터 본격 제공한다고 밝혔다.

지난 7월 폭발사고로 무너진 울산시 남구 한화케미칼 울산2공장 폐수처리장의 모습

와이파이 위치정보 활용 플랫폼은 긴급상황 발생시 119나 112로 구조 요청을 하면, 신고자 주변의 와이파이 엑세스포인트(AP) 정보를 활용해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는 시스템이다.

기지국을 통해 위치정보를 수집할 경우 오차 범위가 크게 나타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위성항법장치(GPS)를 이용하면 기지국보다 정확한 정보를 얻을 수 있긴 하지만, 실내 측위가 어렵고 대형건물 등 주변환경에 영향을 받는다는 한계점이 존재했다.

반면 와이파이를 활용한 위치정보는 오차 범위가 30~50m에 불과하고, 실내와 실외 구분없이 이용 가능하다. 방통위 측은 “이동통신 3사가 구축한 와이파이 AP 데이터베이스(DB)와 정부가 자체 구축한 AP DB를 활용한다”며 “신호 패턴이 유사한 위치를 찾아 긴급구조 기관에 전달하는 방식”이라고 설명했다.

방통위는 플랫폼 시스템 고도화, DB 확대 등을 통해 위치정보 플랫폼의 실효성을 꾸준히 높이겠다고 전했다. 엄열 방통위 개인정보보호윤리과장은 “와이파이 위치정보 활용 플랫폼이 사회안전망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