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형우 서강대 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

새누리당 부설 여의도연구원이 지난 3일 내놓은 ‘포털(네이버·다음카카오) 모바일 뉴스 메인화면 빅데이터 분석보고서’를 두고 논란이 커지고 있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올 1~6월 인터넷 홈페이지 기사 5만개 중에서 부정적인 표현이 여당 쪽에 27% 더 많았다.

새누리당은 보고서를 근거로 네이버와 다음카카오가 야당에 유리한 방향으로 뉴스를 편집하고 있다면서 연일 포털업체를 비난하고 있다. 이에 대해 야당은 총선과 대선을 앞두고 새누리당이 포털 길들이기에 나선 것이라며 맞서고 있다. 네이버도 “이번 보고서가 객관적, 과학적으로 작성됐는지 확인하기 어렵다”고 반박했다.

이 논란은 국감으로 이어져 지난 17일 국회 정무위원회에서 열린 공정거래위원회에 대한 국정감사에서는 네이버·다음카카오의 독과점 문제가 집중 거론됐다.

이번 연구를 이끈 최형우 서강대 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사진·48)를 지난 18일 만나 보고서를 작성한 배경을 직접 들어봤다. 최 교수는 “포털이 뉴스를 포함한 콘텐츠에 대한 유통을 독점한 것은 사실”이라면서 “기존 신문법이나 방송법이 아닌 콘텐츠 유통업자(포털)를 규제할 별도 법이 필요해 보인다”고 말했다.

- 포털 뉴스를 분석하게 된 계기는.

“새누리당 여의도연구원이 연구를 의뢰했다. 새누리당이 뉴스 시장에서 막강한 영향력을 펼치는 포털에 대해 말하고 싶어도 자료가 없어 답답해 했다. 네이버나 다음카카오가 시원하게 정보를 공개하는 것이 없다는 것이다. 나 스스로도 포털의 사회적 역할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고 생각해 연구를 시작했다.”

- 보고서의 핵심 내용은 무엇인가.

“올 1월부터 6개월간 네이버와 다음의 모바일 메인 화면 기사 5만236건을 분석했다. 네이버 3만482건, 다음 1만9754건이었다. 그 결과, 포털 모바일 화면에는 부정적인 이슈와 부정적인 표현의 뉴스가 더 많이 노출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 부정적인 뉴스 콘텐츠 대부분은 여당과 정부와 관련된 콘텐츠였다.”

-연구팀이 기사 제목을 분류한 기준이 자의적이어서 객관성이 부족하다는 비판도 있다.

“이번 연구는 정량적인 연구라 틀리고 말고 할 부분이 없다. 석,박사급 연구자 4명이 포털의 기사 제목을 분류한 뒤 교차 검증을 거쳐 나온 결과를 보고서에 실었다. 사회과학적으로 연구 신뢰도가 0.7 이상이면 신뢰도가 있다고 판단하는데, 이번 조사는 신뢰도가 0.8 이상이었다.”

- 네이버와 다음카카오도 연구 결과를 두고 정면으로 반박했다.

“포털한테는 민감한 결과이기 때문이다. 내가 뉴스를 모른다거나 포털을 모른다는 공격까지 하는데, 이는 사실과 다르다. 인터넷 포털업계에서 10년 넘게 일했다. 야후에서는 미디어 그룹장을 맡았고, 다음에서 이마케팅 사업을 담당했다. 이런 실무 경험 때문에 포털 비즈니스 모델을 잘 알고 있다. ”

최 교수는 지난 2001년 야후코리아에 입사, 검색 부문장, 미디어 그룹 부문장을 맡았으며 2005년부터는 다음에서 이커머스 사업 부문장으로 일했다. 2011년~ 2014년에는 동영상 포털인 판도라TV 대표이사로 재직했다. 2009년~2011년에는 한국인터넷마케팅협회 회장도 지냈다.

-포털의 비즈니스 모델은 무엇인가.

“포털에서 뉴스란 고객을 유입하기 위한 미끼상품이라고 보면 된다. 뉴스를 보러 들어온 사람이 검색을 하고 검색 결과로 나타난 콘텐츠를 소비한다. 이런 과정에서 포털은 광고 수익을 올리게 된다. 물론 포털업체들은 콘텐츠 제공업체에 사용료를 내지만, 콘텐츠를 이용해 추가로 올린 수익은 콘텐츠 업체와 나눠 갖지 않는다.”

- 새누리당이 보고서를 이용해 '포털 길들이기'에 나섰다는 비판도 있다.

“이번 연구 결과만으로 포털이 야당에 편향적이라고 말할 수는 없다. 포털이 야당에 유리한 편집을 하는 지 제대로 분석하려면, 언론사들이 포털에 제공하는 전체 기사와 포털이 반영한 기사를 비교 분석해야 한다. 이번 보고서는 포털 메인 뉴스만 분석한 것이다. 새누리당의 주장은 보고서의 주장이 아니라 새누리당 관점에서 보고서를 해석한 주장이다. 다만, 포털이 유통하는 콘텐츠의 양이 엄청나게 늘어났다는 점에서 이제 여야를 떠나 포털의 역할과 책임을 진지하게 따져 볼 때가 됐다.”

- 규제가 필요하다는 이야기인가.

“포털 뉴스가 처음 등장할 때는 중소규모 언론사의 진입 창구가 되기도 하고,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등 순기능이 많았다. 시간이 흐르면서 포털은 뉴스 콘텐츠의 새로운 '유통 공룡'으로 성장했다. 민주사회에서는 어떤 파워집단에 대해서든 감시와 견제가 있어야 하지 않나.”

- 감시와 견제는 어떻게 이뤄져야 하나.

“포털이 유통하는 콘텐츠는 문자로 된 뉴스도 있고 영상으로 된 방송 콘텐츠도 있다. 기존 신문법이나 방송법을 포털에 적용해 규제하기 어렵다는 이야기다. 유통사업자에 초첨을 맞춘 별도 법이 필요하다. 포털뉴스를 파고들면 비즈니스 모델의 아킬레스건을 건드리는 이야기가 나오니, 포털이 이번 보고서에 민감하게 반응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