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정부가 미국 정보기술( IT) 기업들에게 ‘보안서약서’를 요구했다. 해당 서약서에는 검열과 관련된 내용도 포함돼 있어 기업들의 수용 여부가 관심을 끌고 있다.

뉴욕타임즈(NYT)는 최근 중국 정부가 미국 IT 기업들에게 보안 규정을 지키겠다는 서약서를 보냈다고 지난 17일(현지시각) 보도했다.

뉴욕타임즈(NYT)는 중국 정부가 미국 IT 기업들에게 검열과 관련된 내용이 포함된 ‘보안서약서’를 요구했다고 지난 16일 보도했다. 중국은 검열에 반대하는 페이스북과 트위터의 중국 내 서비스를 금지한 바 있다.

서약서에는 중국의 국가안보를 저해하는 행동을 하지 않을 것과, 당국의 허가 없이 중국 고객 정보를 중국 바깥으로 옮길 수 없다는 내용이 포함됐다. 구글과 우버, 애플 등의 기업이 서약서를 전달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NYT는 서약서 내용 중 기업들이 제공하는 서비스가 '안전하고 통제 가능(secure and controllabe)해야 한다'는 문구를 지적했다. 이 내용을 받아들일 경우 중국 정부가 해당 기업의 서비스를 검열하는 것은 물론이고 직접 시스템에 접속할 권한을 요구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외신들은 기업들이 서약서를 거부할 경우 기업 활동에 규제가 뒤따를 것으로 내다봤다. 중국 정부는 검열에 반대한다는 이유로 페이스북과 트위터의 중국 내 서비스를 금지한 바 있다.

중국 정부의 토종 기업 지원과 해외 기업의 검열 정책에도 글로벌 기업들의 중국 투자는 지속적으로 늘고 있다.

PC제조업체 델(Dell)은 지난 13일 중국에 5년 동안 1250억달러(약 148조원)를 투자하겠다고 밝혔다. 차량공유서비스 업체 우버도 올해 중국 법인에 12억달러(약 1조4126억원)를 투자해 중국 내 서비스 지역을 100곳으로 늘리겠다고 선언했다.

애플은 매년 아이폰 생산량의 절반 이상을 중국 폭스콘을 통해 생산하고 있고, 지난 9일(현지시각) 공개한 ‘아이폰6s’와 ‘아이폰6s플러스’의 1차 출시국에도 중국을 포함시켰다.

지난 2010년 중국의 검열 정책에 반발해 중국 내 사업을 중단했던 구글도 중국 정부의 요구에 맞춘 스마트폰을 개발하는 등 중국 시장 재진입을 시도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