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실업 문제가 심각해지면서 최근 기업들이 임금피크제를 도입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청년실업률이 5개월 연속 10%를 넘어서면서 전체 실업률의 2~3배가 넘게됐고 정부와 정치권도 이에 대한 대책 마련에 나섰다. 정부는 청년고용 증대 세제를 마련하고 임금피크제를 도입한 기업 지원에도 나서기로 했다.

청년 실업이 국가적인 문제로 논의되기 시작하자 공공기관에서도 임금피크제 도입을 서두르고 있다. 한국감정원도 7월 30일 노사가 임금피크제 도입에 합의했다고 발표했다.

하지만 건설업계에서는 시공능력평가 상위 11개 건설사 중 현대건설, 현대엔지니어링, GS건설, 롯데건설, 한화건설 5곳 정도만 임금피크제를 시행중이다. 대림산업은 2006년부터 석유화학사업부에만 적용하고 있다. 대림산업을 포함해도 시공능력 상위 11개 건설사 중 절반 정도만 임금피크제를 운영하고 있는 셈이다.

최근 임금피크제 논의가 다시 뜨거워지자 삼성물산은 내년부터 임금피크제를 도입하는 방안을 검토중이다. 대우건설도 도입을 위해 노사간 협의중이라고 밝혔다. 반면 SK건설, 현대산업개발, 포스코건설은 아직 실행하지 않고있다.

임금피크제 도입은 회사가 임금을 줄 여력을 늘려 청년 고용을 늘리자는 취지에서 계속 논의되고 있다. 건설시장은 한국 경제에서 중요한 축을 담당하고 있다. 7월 30일 발표된 토목건축공사업의 시공능력평가 총액은 225조원에 이른다. 시장이 큰 만큼 고용에 대한 책임감도 크다고 할 수 있다.

특히 대형건설사들이 해외에서 발생한 손실을 국내 분양시장에서 얻은 수익으로 상쇄하고 있는 요즘 상황을 고려한다면,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다한다는 측면에서 임금피크제를 통한 청년실업 문제 해결을 위해 건설업계가 좀 더 적극적일 필요가 있다.

그동안 건설사들은 불공정 담합과 불안정한 노동 환경, 안전 사고 등 좋지 않은 뉴스에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나쁜’ 기업의 전형으로 비춰져 왔다. 건설업계가 임금피크제를 적극적으로 도입해 청년 일자리 창출을 선도한다면 악화된 이미지 개선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