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월대비 전산업생산 0.3%, 설비투자 0.8% 감소
소매판매는 1.6% 증가…경기순환변동치는 보합


생산과 투자가 3월에 이어 4월에도 감소했다. 소비는 한달 만에 다시 증가로 돌아섰다. 향후 경기국면을 예고해주는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는 4개월 연속 오르다가 지난달 보합에 그쳤고, 현재 경기 수준을 보여주는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도 보합이었다.

기획재정부는 “저유가와 자산시장 개선세가 소비심리 회복으로 이어지면서 소매판매와 서비스업 생산 등 소비관련 지표가 좋아졌고 내수 개선세가 강화되고 있다”면서도 “수출 둔화의 영향으로 내수 개선세가 생산 투자 회복으로 확산되지 못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 생산 투자 두달 연속 감소…수출 부진 영향

통계청이 29일 발표한 ‘2015년 4월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광공업 생산은 전월에 비해 1.2% 줄었다. 3월 0.3% 감소에 이어 두달 연속 감소세를 보였다. 자동차(2.8%), 통신·방송장비(9.0%) 등에서 증가했지만 기타운송장비(-13.0%), 금속가공(-8.0%) 등이 줄었다.

출하는 0.5% 줄었고 재고는 1.9% 늘었다. 출하를 해도 팔리지 않아 재고가 늘고 이게 다시 출하 감소로 이어지는 모습이다. 제조업의 출하 대비 재고 비율인 재고율은 2.9%포인트 오른 126.5%를 기록했다. 제조업 평균 가동률은 73.9%로 전월에 비해 0.1%포인트 올랐으나 1분기 평균(74.3%)에는 못 미쳤다.

광공업 생산이 감소한 것은 수출이 부진한 영향이 크다. 출하 중 내수 출하는 1.0% 늘었지만 수출 출하는 1.9% 줄었다. 박성동 통계청 경제통계국장은 “반도체나 자동차, 휴대폰 생산은 좋았지만 기타운송장비에서 3월에 시추선이나 특수선박 등 대형 해양플랜트가 완료돼 지금 진행하는 물량이 감소한 영향이 크다”고 설명했다.

서비스업 생산은 전월에 비해 0.5% 늘었다. 3월의 0.2% 감소에서 증가로 반전했다. 출판 영상 방송통신 정보(-2.0%), 보건 사회복지업 (-0.5%) 등에서 줄었지만, 도소매(1.4%), 부동산 임대업(2.4%) 등이 늘었다.

전산업 생산은 광공업과 건설업 등에서 부진해 전월대비 0.3% 줄었다. 광공업 생산과 마찬가지로 지난 3월(-0.5%)에 이어 두 달 연속 감소다.

투자도 부진했다. 설비투자는 전기 및 전자기기, 자동차 등에서 늘었지만 일반기계류, 정밀기기 등에서 투자가 줄어 전월 대비 0.8% 감소했다. 역시 3월(-2.7%)에 이어 두달 연속 감소세를 보였다.

건설기성도 건축 및 토목공사 실적이 줄어 2.6% 감소했다. 다만 건설수주는 발전 통신, 도로 교량 등에서 줄었지만 철도 궤도, 신규 재개발주택 등에서 늘어 지난해 4월에 비해 18.3% 증가했다.

◆ 소비만 나홀로 선방…“엔화 약세, 수출 부진 등 불확실성”

생산과 투자가 부진했지만 소비는 회복되는 모습이었다. 소매판매는 의복 등 준내구재, 음식료품 등 비내구재, 가전제품 등 내구재 판매가 늘어 전월에 비해 1.6% 증가했다. 소매업태별로는 대형마트(5.6%), 백화점(3.9%), 편의점(3.4%), 슈퍼마켓(1.4%), 무점포소매(0.2%)는 증가했지만 전문소매점(-0.8%), 승용차 연료소매점(-0.7%)은 줄었다.

기재부는 “소비심리 회복세가 지속되고 4월중 감소했던 소비재 수입도 5월 들어 증가하고 있어 소비 개선세는 당분간 지속될 전망”이라고 분석했다.

현재의 경기상황을 보여주는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지난달 100.3을 기록, 3월과 같았다. 소매판매액지수와 서비스업생산지수는 증가했지만 건설기성액, 수입액 등이 감소한 영향이다.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2014년 11월 99.8을 찍은 뒤 올 2월까지 3개월 연속 증가하며 100.5까지 올랐지만 3월에 다시 떨어졌었다.

향후 경기국면을 예고해 주는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는 코스피지수, 건설수주액은 증가했지만 재고순환지표, 구인구직비율 등이 감소해 3월과 같은 103.8을 기록했다.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는 2014년 11월 101.1에서 지난 3월까지 4개월 연속 올랐었다.

기재부는 “소비 개선세가 이어지며 생산 투자에도 긍정적 영향을 줄 전망이나 엔화 약세, 수출 부진 등 불확실성도 있다”며 “소비회복세가 더욱 공고화되고 생산 투자 회복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경제 활성화를 위한 정책대응을 더욱 강화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