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지원 등에 힘입어 국내 창업이 늘어나고 있지만, 창업 생존율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주요국 가운데 최하위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이 25일 발표한 ‘IT벤처기업의 데스밸리 극복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 창업기업의 창업 3년 후 생존율은 41.0%(2013년 기준)로, OECD 17개 주요 회원국 가운데 최하위에 그쳤다. 100개 기업이 창업했다면 3년 뒤 41개 기업만 살아남는다는 의미다.

현대경제연구원에 따르면 우리나라 신생 기업의 75% 이상이 5년 이내에 폐업했다. 10년 이상 사업을 지속한 기업은 8%에 불과했다.

반면 룩셈부르크는 창업 3년 후에도 살아남는 기업 비중이 66.8%로 가장 높았고, 호주는 62.8%, 이스라엘 55.4%, 미국 57.6%, 이탈리아 54.8% 순이었다.

연구원은 “시장 진입은 쉽지만 경쟁이 심하고 부가가치가 낮은 생계형 창업 비중이 높아 창업 기업의 생존율이 낮은 결과”라고 분석했다.

우리나라 창업기업 중 생계형 창업 비중은 63%로 OECD 주요국 가운데 가장 높았다. IT 업종 등 기회형은 21%에 그쳤다. 반면 이스라엘은 생계형이 13%, 기회형이 58%를 차지했고, 미국은 생계형 창업이 26%, 기회형이 54%였다.

기회형 창업이란 시장에서 기회를 사업화하기 위해 회사를 설립하는 것으로, 생계 목적의 요식업 등 저부가가치 창업인 생계형과 구분된다.

연구원은 또 국내에서 IT 등 경제 기여도가 높은 기회형 창업이 이뤄지더라도 창업 3~7년 기간에 매출 정체, 자금 고갈 등의 위기로 창업이 좌절되는 경우가 많다고 지적했다.

연구원은 “추가로 창업자금지원제도를 신설하기 보다 창업 기업의 사업이 궤도에 오르기 전 자금이 고갈되는 이른바 ‘죽음의 계곡(death valley)’ 시기에 효율적으로 자금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그러면서 연구원은 “정책금융의 모험자본 지원을 확대하고 기업공개(IPO)와 벤처금융의 투자회수경로를 다각화해 투자 수요와 공급의 불균형을 개선해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