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별적 지원 가능한 재정정책, 구조개혁에 더 큰 영향"
통화정책 의존 경계…"금리 세 번 낮춘 나라 많지 않다"

이주열 총재는 “재정정책은 연구·개발(R&D) 투자에 선별적으로 지원할 수 있기 때문에 굳이 따진다면 통화정책보다 재정정책이 구조개혁에 더 영향을 줄 수 있다”며 구조개혁 과정에서 재정정책의 역할을 강조했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18일(현지 시각) “통화정책은 경기순환적 요인에 대처하는 단기 거시정책이고, 성장 잠재력을 높이려면 구조개혁을 해야 한다”며 다시 한번 구조개혁을 강조했다.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 회의 참석 차 미국을 방문 중이 이 총재는 이날 기자 간담회를 갖고 “기준금리를 1년 동안 세 번(지난해 8월 ,10월, 올해 3월) 낮추는 등 통화·재정 정책으로 나름대로 노력하고 있지만, 그것만으로는 안 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경기 부진에 대응해 한은이 완화적인 통화정책을 유지하고 있지만, 보다 근본적으로 우리 경제의 성장잠재력을 높이려면 노동시장 개혁과 공무원 연금 개혁 등 구조개혁에 힘써야 한다는 의미다.

이 총재는 “(구조개혁을 제대로 추진하려면) 정치권의 힘도 필요하고, 노조와 사측이 타협하며, 가계도 정부정책에 호응하는 쪽으로 방향을 전환해야 한다”며 “정치권에 ‘경제살리기 위한 소통창’ 같은 게 있다면 경제 심리가 굉장히 올라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재정정책은 구조개혁에 미치는 영향이 통화정책보다 더 크다고 밝혔다. 그는 “재정정책은 연구·개발(R&D) 투자에 선별적으로 지원할 수 있기 때문에 굳이 따진다면 통화정책보다 재정정책이 구조개혁에 더 영향을 줄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 총재는 또 저성장에 대응하기 위해 통화정책에 과도하게 의존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지적한 크리스틴 라가르드 국제통화기금(IMF) 총재의 발언을 소개하며 “한은 금융통화위원회가 지난해와 올해 기준금리를 세 번이나 낮췄는데, 금리를 세 번씩 낮춘 나라는 많지 않다”고도 했다.

지난 3월 한은 금통위가 전격 금리 인하에 나서며 추가 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가 커진 상황에서 다소 매파(hawks·긴축적 통화정책 강조)적인 입장을 밝힌 것이다.

이 총재는 이달 수정 경제전망을 발표하며 올해 우리나라 성장률 전망을 기존 3.4%에서 3.1%로 하향 조정한 것에 대해서는 “현재 우리 경제 성장의 상방·하방 위험이 모두 존재한다”고 진단했다. 국제 유가 하락과 유럽 경기 회복은 우리 경제 성장률을 높일 수 있는 요인이지만, 중국 경기 둔화와 엔화 약세는 우리 경제에 위험 요인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이 총재는 꾸준히 제기되는 디플레이션 우려는 “과도한 측면이 있다”며 “유가 하락에 직접 영향을 받은 7개 품목을 제외하면 물가 상승률은 2%대”라고 말했다.

이 총재는 미국이 금리를 인상한다고 해도 우리가 곧바로 금리를 따라 올릴 필요는 없다는 것을 다시 확인했다. 앞서 최경환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도 지난 17일 “미국의 금리 인상이 꼭 한국 (금리)의 인상으로 이어져야 하는지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며 우리와 미국의 통화정책이 일시적으로 다른 방향으로 갈 수 있다는 의견을 내놓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