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성주 미래창조과학부 인터넷융합정책관이 민간분야 액티브X 이용 개선방을 발표하고 있다.

인터넷 쇼핑시 사용자의 불편을 초래했던 보안프로그램 액티브X(ActiveX)가 2017년 사라진다.

미래창조과학부는 1일 ‘민간분야 액티브X 이용 개선방안’을 발표하고, 국내 인터넷 사용자들이 많이 찾는 100대 웹사이트를 대상으로 액티브X 이용 개선 정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는 새로운 기술 도입비용과 관련 기술 부재 등으로 액티브X에 대한 개선이 어렵다는 업계의 의견을 수렴한 결과다.

먼저 미래부는 100대 웹사이트 내 중소·중견기업을 대상으로 액티브X를 개선할 웹표준 활용 솔루션 도입비를 지원한다. 정부는 해당 기업이 웹표준 활용 솔루션을 도입할 경우 도입비용의 50%(솔루션당 2000만원, 사이트당 1억원 상한)를 지원한다.

또한 미래부는 인터넷 분야별 대표 웹사이트에 대해 웹표준 전환에 따른 비용을 지원해 액티브X 없는 모범 사례를 구현할 계획이다. 중소기업은 최대 3억5000만원, 중견기업은 1억5000만원을 지원받게 된다.

미래부는 전체 액티브X의 65%를 차지하는 보안·결제·인증분야를 먼저 지원해, 국민의 체감률을 높이겠다는 방침이다. 이 밖에 미래부는 웹표준 기술의 연구개발(R&D)을 위해 개발사당 개발비의 50%(최대 1억원)를 지원하기로 했다. 액티브X 환경 개선을 위해서는 웹표준에 대한 기술개발이 필요하지만, 추가적인 개발비 부담 때문에 연구개발이 수월하지 않기 때문이다.

또 정부는 웹표준 사이트 인증제를 도입하고 웹표준 전문인력 교육과정, 온라인 기술지원센터와 맞춤형 컨설팅 등 다양한 기술지원에 나설 방침이다. 미래부는 이번 개선 방안을 통해 2017년까지 국내 민간 주요 100대 웹사이트 중 90%가 액티브X가 없는 사이트로 전환될 것으로 전망했다.

액티브X 없는 사이트 증가 추이

최근 액티브X는 전 세계적으로 인터넷 환경 개선을 위한 필수요소를 꼽히고 있다. 액티브X는 설치과정에서 PC 재부팅, 프로그램 충돌을 일으켜 정상적인 웹서비스 이용이 안 되는 이용자의 불편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됐다.

마이크로소프트(MS), 구글 등 주요 웹브라우저 제공업체도 이용자 불편과 보안 문제를 이유로 액티브X 등 플러그인 기술지원을 축소하는 상태다. 현재 MS는 윈도우8 이후 일부 모드에서 액티브X를 지원하지 않고 있으며, 구글은 올해 9월 구형 플러그인(NPAPI)의 지원을 중단한다.

강성주 미래부 인터넷융합정책관은 “이번 개선방안은 전자상거래 액티브X 개선 성과 사례를 다른 분야에도 확산하기 위해 마련됐다”며 “정부의 노력과 민간부분의 적극적인 정책 참여 유도를 통해 이용자 불편을 해소하고 국내 인터넷 이용환경을 획기적으로 개선하겠다”고 말했다.

정부는 연말소득공제 등 행정·공공기관 웹사이트에 대해서도 행정자치부를 중심으로 액티브X 개선 종합대책을 마련해 이달 중에 발표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