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富)의 불평등’이 세계적인 논란거리다. 지난해 국내에서 가장 많이 팔린 정치·사회 분야 관련 서적이 이 문제를 폭넓게 다룬 토마 피케티의 ‘21세기 자본’일 정도로 소득 불평등에 대한 관심이 크다.

한 나라의 소득 불균형 수준은 어떤 방법으로 알 수 있을까? 국내는 물론 해외 대부분 국가에서 지니계수(Gini coefficient)라는 지표를 활용한다.

지니계수는 0에서 1 사이의 수치인데, 1에 가까울수록 소득 불균형이 크다는 뜻이다. 1에 가까울수록 부자 아빠와 가난 아빠의 소득 격차가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지니계수가 0.4를 넘으면 불평등한 것으로 여겨진다.

우리나라는 1963년부터 매월 시행된 가계동향조사 결과를 토대로 지니계수를 산출해왔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2013년 한국의 지니계수는 0.302로 집계됐다. 지난 2012년의 0.307보다 0.005 감소했으며, 전체 가구를 대상으로 통계를 시작한 지난 2006년 이후 최저 수준이다. 하지만 이 수치는 피부로 느끼는 소득 불평등 수준과는 괴리가 있어 보인다는 지적을 받았다

가계동향조사를 활용한 지니계수가 실상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다는 평가를 받자, 통계청이 이 같은 문제점을 보완해 가계금융·복지조사를 기준으로 산출한 새 지니계수를 선보였다. 새 지니계수는 0.353으로 나타났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4개 국가 가운데 6번째로 불균형이 심각하다는 결과가 나왔다.

같은 지니계수인데도 차이가 나는 이유는 기준으로 삼는 소득이 다르기 때문이다. 가계동향조사에서는 실제 가계로 들어오는 소득인 ‘전입소득’을 기준으로 지니계수를 계산한다. 반면 가계금융·복지조사는 법인 영업이익이 기준이다. 두 소득은 근로소득자의 경우에는 별 차이가 없지만 자영업자일 경우 달라진다. 자영업자의 경우 실제로 발생한 수익에서 영업을 위한 재투자나 유보금 등을 제외한 돈이 전입소득이지만, 순이익에서는 재투자나 유보금이 모두 포함되기 때문이다.

정부도 보완 작업을 하고 있다. 새 지니계수를 만든 데 이어 중산층의 집중정도(밀집도)를 나타내는 ‘울프슨지수’를 지니계수의 보조지표로 활용하는 등 개선노력을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