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4세에 남편과 사별한 오모(73)씨는 5년 전 식당에서 일할 때 단골손님이었던 정모(73)씨를 만나 연인 사이가 됐다. 둘은 지난해부터 작은 아파트를 얻어 함께 살고 있다. 부부 동반 모임에도 나가고 생일·명절 등 가족 행사에도 함께 참석하는 등 부부와 다르지 않은 삶을 살고 있지만 법적으로는 아직 남남이다.

오씨는 아들의 극렬한 반대 때문에 정식으로 결혼할 생각을 접었다고 했다. "지난해 집을 합칠 때 정 선생님이 제 아들에게 결혼 얘기를 슬쩍 꺼낸 적이 있었어요. 제 아들이 어머니 말이라면 다 듣는 효자인데, 도끼눈을 하고는 '못 들은 걸로 하겠다'고 정색을 해요. 어머니 '호적'이 옮겨가는 게 싫다, 아버지가 남긴 재산을 '아저씨'와 나눌 생각이냐면서…." 오씨는 그 후로 아들에게 다시는 결혼 얘기를 꺼내지 않았다.

체력과 정신력이 이전의 중년에 못지않은 신(新)중년(60~75세) 중 사별·이혼 후 두 번째 '짝'을 만나는 이들이 늘고 있지만 신중년의 사랑이 결혼까지 이어지기엔 '자녀의 반대'라는 거대한 장벽이 존재한다. 결혼 정보 회사 '선우'가 신중년 300명을 설문한 결과 신중년이 꼽은 재혼의 가장 큰 문제는 '자녀의 반대'(43%) '상속 문제'(25%) 등 자식과 관련한 요인들이었다.

젊은이들은 홀로된 부모님의 연애는 찬성하면서도 결혼은 반대하는 이중적 태도를 보이고 있다. 부모님이 재혼하면 물려받을 재산이 줄어들 가능성이 크고 '호적'이 복잡해지는 것도 싫다는 이유에서다. 결혼 정보 회사 '듀오'의 20·30대 대상 설문에 따르면 홀로된 부모님의 연애에 대해서는 62%가 좋다고 답한 반면 '결혼을 찬성합니까'라는 질문엔 60%가 '반대'라고 답해 '연애는 괜찮아도, 결혼은 안 된다'는 입장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