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용산 개발을 통해 2020년까지 총 5조원 규모의 민간 투자 효과가 예상된다고 전망한다. 또 개발시기를 4년 앞당기면 사업 개발에 따른 금융비용 감소 효과도 함께 거둘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인근 집값이 들썩이는 부동산 경기부양 효과도 기대된다. 특히 캠프킴 부지 인근의 남영역과 삼각지역 일대 지역이 수혜를 받을 것으로 보인다.

다만 사업 진행과정에서 걸림돌도 많다. 우선 서울시와의 이견을 조율해야 한다. 용산 미군기지의 경우 정부는 이 지역의 개발을 통해 민간 투자 효과와 부동산 부양을 노리고 있지만, 서울시는 이 공간을 시민에게 휴식공간으로 제공하려는 의도를 갖고 있다. 앞으로 정부와 서울시간의 갈등이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

관련 법을 제·개정해야 하는 문제도 있다. 실제로 이번에 발표한 53개 투자활성화 대책을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법률 제·개정 과제가 8개에 달한다. 자연공원법, 항공법, 관광진흥법 등 제·개정이 쉽지 않은 사항도 포함돼 있다.

민간 투자자들이 얼마나 용산 부지 개발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할지도 문제다. 여의도와 마포 일대 빌딩에도 이미 공실이 많은 상황에서, 용산이 얼마나 매력적인 투자처로 부상할지 불확실하다. 정부 입장에서는 용산 개발에 드는 비용이 1조2000억원대에 이르고, 유지관리비가 연간 300억원대에 이른다는 점도 부담스럽다.

국토부 관계자는 “유지·관리비 부담을 줄이기 위해 민간 참여 방안도 검토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또 주상복합이나 오피스텔들이 대거 들어설 경우 용산구를 국제교류·업무지구로 만들겠다는 서울시의 구상은 실현되기 어려워진다. 또 주거시설이 들어서게 되면 용산공원 독점 논란도 제기될 수 있다.

국토부 용산공원조성추진기획단 관계자는 “주거비율은 사업시행자 한국토지주택공사(LH) 사업제안서를 제출하면 이후 서울시와 국방부 등 관계부처와 협의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