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상에서 500㎞ 떨어진 우주공간을 날아다니며 한반도 감시 업무를 수행할 무게 500㎏의 인공위성을 개발하는 중형위성 개발사업이 내년부터 본격 추진된다. 중형위성은 매번 처음부터 개발을 해야 했던 다목적실용위성 아리랑 위성과 달리 임무에 따라 일부 부품만 바꾸면 되는 대량생산 체계에 적합한 위성으로 평가된다.

미래창조과학부는 18일 서울 강남구 임페리얼 팰리스호텔에서 ‘우주강국 도약을 위한 우주개발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이날 행사에 참석한 우주개발 관련 산학연 전문가들은 “중형위성 사업이 국가 주도의 우주개발 사업이 민간 주도로 패러다임이 전환되는 계기로 자리매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선진국들이 우주기술 개발 협력에 배타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어 전략적인 협력 방안을 모색하고 블루오선으로 성장하는 우주개발 예산을 지속적으로 늘려야 한다고 지적했다.

◆ “산업체 중심 우주개발로 전환 필요”

문해주 미래부 우주원자력정책관은 “우주개발에 잠시 주춤했던 선진국을 비롯해 후발국가들이 최근 우주개발 예산을 늘리는 등 환경이 급속히 변하고 있다”며 “각국이 블루오션인 우주경제쪽으로 가고 있는 상황에서 우주개발을 돈 먹는 하마로만 볼 것은 아니다”고 말했다. 문 정책관은 “연구개발 예산 증액이 쉽지 않은 상태에서 장치산업의 특성상 당분간 초기투자비는 클 수밖에 없다”며 “하지만 장기적으로 적은 액수로 우주개발이 가능해질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조광래 한국항공우주연구원장은 “우주분야는 각국이 앞다퉈 경쟁을 벌이는 경제 혁신의 블루오션”이라며 “우리가 독자개발 능력을 갖추지 못하면 이 블루오션에 참여하지 못한다"고 말했다. 조 원장은 이어 “한국은 한국형발사체 개발과정에서 기술개발이 내실 있게 이뤄져야 하고 산업체 참여와 국제협력을 늘려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며 ”그간 우주개발은 국가가 주도하고 항우연이 실현했지만 앞으로는 예산이 산업체로 넘어가 많은 산업체가 참여하는 방향으로 가야 한다“고 말했다.

◆ 달 탐사 연기 불가피 중형위성에서 기회 찾아야

정부는 2017년까지 미국항공우주국(NASA)와 협력해 달에 궤도선을 보내는 방안을 추진했다. 정부는 당초 한국형발사체와 함께 달 탐사 사업에 산업체 참여를 적극 유도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이 계획은 내년 예산안에 반영되지 못하면서 내후년으로 연기됐다. 중형위성 사업에 산업체 참여를 적극 유도할 계획이다. 다목적실용위성이 고가의 단품을 만드는 방식이었던 반면 중형위성은 하나의 모델을 만들어놓고 공장처럼 찍어낼 수 있는 사업 방식이기 때문이다. 실제로 2020년까지 개발될 2개 중형위성 가운데 1호는 항우연이 만들고, 2호는 국내 산업체가 제작하는 방안이 확정됐다. 이후 2025년까지 총 10개의 중형위성을 추가로 개발해 발사할 계획이다.

황진영 항우연 정책협력센터장은 ”중형위성은 하나의 플랫폼을 만들어 광학카메라와 레이더, 초고분광 장치 등 다양한 탑재체를 필요에 따라 적용하도록 하는 개념“이라며 ”한반도 감시체계는 물론 한국형발사체 성능검증, 공적개발원조(ODA)를 통한 개발도상국 판매까지 다양한 용도에 활용될 수 있다“고 말했다. 황 센터장은 “선진국의 기술보호주의가 심화되는 상황에서 부품의 국산화는 필수적이며 산업체의 참여가 반드시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 중형위성 개발사업 산업화 계기 삼아

이날 행사에서는 우주산업을 진흥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도 제시됐다. 김현수 미래부 우주기술과장은 “한국의 우주산업체는 대부분 영세한 수준에 머물고 있고 대기업 위주로 돌아가고 있다”며 “대형우주개발 사업을 통해 산업체를 키워야 한다”고 말했다. 김 과장은 “우주개발에서 산업체 참여수준은 2012년 56% 수준에서 2017년 80%까지 올릴 계획”이라며 “중형위성 사업을 패러다임 전환의 계기로 삼아야 한다”고 했다.

한화종합연구소 안조영 상무는 “최근 기업들의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크게 감소하고 있는데 이런 산업적 환경이 우주산업에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며 “기술집약적인 우주산업을 어떤 방향으로 가져가야 할지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민간연구기관인 트리마란 황신희 대표는 “한국 우주관련 기업들 가운데 40%는 사실상 가장 초창기 단계에 있다”며 “엔지니어링 플랜트와 원전 수출 등의 사례를 미뤄보면 우주산업의 수출 활성화를 위해 중국과 인도처럼 정부의 교섭력이 강화돼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