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광석 서울대 교수

국내 연구진이 에이즈를 유발하는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HIV-1)를 분해해 에이즈 감염을 억제하는 특정 단백질을 찾아냈다. 이 단백질을 이용하면 치료 효과가 뛰어난 에이즈 백신을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안광석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팀은 단백질 ‘SAMHD1’이 HIV-1을 구성하는 RNA를 분해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고 21일 밝혔다. RNA는 핵산(nucleic acids)의 일종이자 HIV-1의 구성요소다.

HIV-1은 세포내 염기(DNA·RNA를 이루는 단위체)의 농도가 낮을수록 증식이 억제되는 경향을 보인다. 이 때문에 현재 시판 중인 에이즈 백신 대부분도 염기 농도 조절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그러나 백신에 내성을 가진 HIV-1 돌연변이가 쉽게 발생해 약효가 떨어지는 경우가 잦아, 새로운 에이즈 백신 개발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많았다.

연구팀은 SAMHD1이 RNA를 분해할 수 있는 기능을 갖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HIV-1 분해와도 관련 있을 것으로 판단, 본격적인 연구에 착수했다.

그 결과 연구팀은 세포내 염기 농도가 낮아지면 SAMHD1의 RNA 분해기능이 활성화돼 HIV-1 증식이 억제되고, 반대로 염기 농도가 높아지면 SAMHD1이 비활성 상태로 변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특히 염기서열과 무관하게 HIV-1의 RNA만을 인식해 분해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즉 돌연변이가 발생해도 RNA 분해기능은 정상적으로 작동한다는 의미다.

안 교수는 “HIV-1은 빠른 속도로 돌연변이를 일으키기 때문에 그동안 백신의 효능이 지속되지 않는다는 한계점이 있었다”며 “SAMHD1이 돌연변이에 상관없이 RNA를 분해하는 만큼 이번 성과가 새로운 개념의 백신 개발 연구로 이어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메디슨(Nature Medicine)’ 21일자(현지시각)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SAMHD1이 발현된 세포(왼쪽)에서는 HIV 증식이 억제돼 형광이 나타나지 않는 반면 SAMHD1이 비활성 상태인 세포(오른쪽)에서는 HIV 증식으로 인해 녹색 형광이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