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보다는 10년, 20년 뒤의 생존을 고민하는 기업이라면 당장 신재생에너지에 투자해야 합니다."

스티븐 추(Steven Chu·66·사진) 미국 UC버클리 교수는 7일 "이미 미국에서 풍력발전(發電) 단가는 석탄 발전보다 더 낮아졌다"며 "화력발전에 기반을 둔 기존의 전력회사도 신재생에너지에서 새로운 사업기회를 찾고 있다"고 말했다.

추 교수는 조선일보와 한국고등교육재단이 공동 주최한 '창조적 미래를 여는 과학기술의 혁신' 국제심포지엄에 참석차 방한했다.

그는 1997년 레이저를 이용한 원자 냉각 연구로 노벨 물리학상을 받은 대표적인 물리학자다. 2009년부터 지난해 3월까지 오바마 정부에서 에너지부 장관을 맡아 신재생에너지 확대 정책을 지휘했다.

"과거 AT&T는 가정마다 전화기를 제공하고 전화비를 받았습니다. 마찬가지로 전력회사들도 집집마다 지붕에 태양전지판을 무료로 설치해주고 전기료를 받을 수 있습니다. 소비자는 예전보다 싸게 전기를 쓸 수 있으니 이득이죠."

추 교수가 에너지부 장관 시절 추진한 대표적인 정책은 신재생에너지 기업들에 대한 100억달러의 장기 대출이다. 하지만 대출을 받은 몇몇 기업들이 도산하면서 '퍼주기' 정책이라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 이에 대해 추 교수는 "정부의 대출 포트폴리오를 보면 월스트리트보다 훨씬 훌륭한 투자임을 알 수 있다"며 "도산한 업체가 일부 있었지만 90~95%는 완전히 상환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만기 7년 전에 대출을 모두 갚은 전기자동차업체 테슬라를 예로 들었다.

그는 "정부의 대출은 연구개발(R&D)이 아니라 전적으로 설비 구축에 투자됐다"며 "덕분에 신재생에너지는 규모의 경제를 실현한 것"이라고 말했다.

"30년 전 태양광 발전 단가는 1와트당 40달러 수준이었죠. 지금은 80센트입니다. 5~6년 내 수익이 가능한 50센트까지 떨어질 것입니다."

그는 전기자동차의 미래도 낙관했다. 핵심인 배터리 가격이 최근 5년간 50% 떨어졌고 앞으로 5년 내에 여기서 50%가 더 떨어질 것이라는 전문가들의 예상을 근거로 들었다. 그는 "10년, 20년 뒤엔 전기자동차에 투자하지 않은 자동차업체는 문을 닫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우리나라는 미국과 달리 태양광이나 풍력발전에 좋은 환경 조건이 아니다. 추 교수는 "한국에 가장 적합한 신재생에너지는 삼면이 바다인 점을 활용한 해상 풍력발전"이라고 조언했다.

"지금은 해상 풍력발전이 육지 풍력발전보다 비용이 3배 더 들어가지만, 10~15년 내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어요. 한국과 일본의 전력망 연결까지 이뤄지면 신재생에너지가 주요한 전력원이 될 것입니다."

그는 "그때까지는 원자력발전이 기후변화에 대응할 청정에너지의 역할을 맡아야 한다"며 "이를 위해 정부는 원자력 안전 규제를 더욱 철저히 해 국민의 불안감을 해소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