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3D프린터 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미국의 3D허브(3D Hubs)와 메이커봇(MakerBot)같은 디자인과 설계도면을 자유롭게 사고파는 전문 포털을 만들기로 했다. 또 전국의 과학관과 박물관, 도서관을 비롯해 주민센터에도 3D프린터를 보급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정부는 23일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제5회 국가과학기술심의회를 열어 이런 내용을 담은 ‘3D프린팅 산업 육성발전전략’을 포함해 12가지 안건을 심의 확정했다.

국과심은 2020년까지 3D프린팅 글로벌 선도국가 진입을 목표로 4대 추진전략과 11가지 세부 추진과제를 만들었다.

제조 분야의 중소기업 참여를 늘리기 위해 지역별로 제조혁신지원센터를 만들고 차량에 3D프린터를 싣고 다니며 시제품을 만들어주는 ‘찾아가는 시제품 서비스’를 제공하기로 했다. 과학관과 도서관 등 공공기설은 물론 주민센터에도 3D프린터를 보급해 국민이 직접 체험하는 환경을 조성하기로 했다. 초중고교는 물론 대학에서도 3D프린터 관련 커리큘럼과 실무형 교육을 추진한다.

애플 앱스토어 같은 앱 장터처럼 프리랜서와 디자이너들이 디자인과 설계 도면을 자유롭게 사고 파는 3D프린팅 디자인유통 플랫폼도 추진된다.

정부는 3D프린터 산업이 활성화될 것으로 보고 법과 제도 개선에도 나선다. 3D프린터를 이용한 불법 무기 제작 등 역기능을 방지하기 위해 법과 규제를 정비하고 장비와 소재, 소프트웨어의 품질평가 기준을 마련하기로 했다. 또 3D프린팅 서비스를 악용한 해킹방지 기술 개발도 추진된다.

미래부는 “2020년까지 3D프린터 장비와 소프트웨어, 소재 분야의 글로벌 기업 5개를 육성하고, 세계 시장점유율을 15%까지 끌어올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국과심은 이날 정부 출연연구기관을 중소·중견기업의 연구개발(R&D) 거점으로 만드는 내용을 담은 ‘중소·중견기업 R&D전진기지화 방안’과 실감형콘텐츠·스마트에코빌딩·맞춤형 건강관리 등 30가지 기술의 발전 계획을 담은 국가중점과학기술 전략로드맵도 심의 의결했다.

또 IT와 접목한 스마트과학관 구축과 과학커뮤니케이터 양성을 골자로 하는 제3차과학관 육성계획, 여성과학기술인 일자리를 늘리는 여성과학기술 육성·지원 기본계획,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와 연계를 강화하는 제2차 연구개발특구육성종합계획 변경안 등도 심의 의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