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득분위별 가계부채.

가계부채는 저소득층에 더 가혹하다. 정부는 “가계부채의 절반 이상을 고소득층이 보유하고 있어 가계부채 문제가 그렇게 심각한 것은 아니다”라는 진단을 내놓기도 하지만, 각 소득 계층 가계부채가 증가하는 속도를 보면 얘기가 달라진다. 지난해 1분위(소득 하위 20%) 가구의 평균 가계부채는 1245만원으로 5분위 가구 가계부채(1억3721만원)의 10분의 1 수준이었다. 하지만 2012~2013년 5분위 가구의 가계부채가 변함이 없는 동안 1분위 가구의 가계부채는 24.5% 증가했다.

소득분위별 금융부채가구의 가처분소득 대비 원리금상환액.

가계부채의 건전성을 나타내는 가처분소득 대비 원리금상환액을 봐도 저소득층의 부담은 매우 심각하다. 1~2분위 가구 대출금 원리금 상환이 가처분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각각 44.6%, 34.0%다. 가처분소득의 절반 가까운 금액을 원리금 상환에 사용하는 셈이다. 반면 4~5분위 가구의 가처분소득 대비 원리금상환액 비중은 각각 24.4%, 22.9%다.

취급기관별 가계부채.

일반 예금은행보다 대출 금리가 높은 비(非)은행예금취급기관에서의 대출이 빠르게 증가하는 추세도 확인됐다. 10년 전인 2004년 270조 수준이었던 예금은행 대출 규모는 2013년 470조원으로 두 배 가까이 늘어나는 데 그쳤지만, 비은행예금취급기관의 대출 규모는 같은 기간 68조원에서 199조원으로 세 배 가까이 증가했다.

가계부채 고정금리와 변동금리 비중.

대출 금리 형태로 보면 아직 변동금리 대출 비중이 절대적으로 크다. 변동금리 대출은 시장 금리를 따라가기 때문에 저소득층의 이자 부담이 갑작스럽게 늘어날 수 있는 부담이 있다. 2012년 고정금리대출이 늘고 변동금리대출이 증가하며 두 개 비중이 비슷해지는가 싶었지만, 2013년 들어 다시 변동금리대출이 크게 늘어 2013년 4분기 85.7%를 차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