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인터넷 사이트 정보 공개 수준은 세계 최하위 수준이에요."

이자 리프코비츠(Lipkovitz·사진) 구글 검색 품질 담당 부사장은 14일(현지 시각) 미국 마운틴뷰 구글 본사에서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한국 인터넷의 정보 공유는 북한·리비아 같은 특수 국가를 빼면 제일 밑바닥"이라고 말했다. 정보를 공유하려고 만들어 놓고도 구글을 비롯한 검색 엔진의 접근을 차단해 사용자의 접근을 막고 있다는 것이다. 인터넷 사용자들은 대부분 포털 등에서 검색한 정보를 바탕으로 웹사이트에 들어간다. 검색을 막으면 사용자들의 접근이 줄어들 수밖에 없다.

그는 국내 대학의 검색 차단 사례를 예로 들었다. 구글은 지난 3월 인터넷전문가협회와 함께 미국과 한·중·일 동아시아 3개국의 상위 100개 대학 웹사이트를 조사했다. 조사 결과 미·중·일 3개국 대학 300곳은 한 곳도 빠짐없이 일정 부분 이상 검색을 허용하고 있었다. 반면 국내 대학은 32곳이 검색을 완전 차단하고 있었다.

외국인에게 알리기 위한 정보를 담은 사이트도 검색을 차단하고 있다. 국사편찬위원회 웹사이트(www.history.go.kr)는 한국어만 아니라 영어로도 국내 역사 관련 내용을 게시한다. 외국인에게 한국의 역사를 올바르게 알리기 위해서다. 하지만 정작 국내외 검색 엔진의 접근을 차단해 네이버·구글·빙 등에서 'korean history(한국 역사)'를 검색하면 국사편찬위원회의 정보가 나오지 않는다. 반면 일본 정부가 구축한 아시아역사자료센터(www.jacar.go.jp)는 모든 검색 엔진에 공개돼 있다. 구글에서 검색하면 16만건 이상 자료가 나온다. 구글 본사의 검색 담당 엔지니어 이동휘씨는 "외국인들이 동아시아 역사를 찾으면 일본이 만든 일방적 동아시아 역사만 보게 되는 셈"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