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철수 카이스트 교수는 국내외 주요 사이트에 대한 디도스(DDoS·분산서비스거부) 공격과 관련, "이번 사태는 대책 없이 있다가 결국 본보기로 당하게 된 것이며, 우리 스스로 자초한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

안 교수는 9일 안철수연구소의 블로그(http://blog.ahnlab.com/ahnlab/)에 올린 자신의 칼럼에서 "1999년 CIH(체르노빌)바이러스 대란, 2003년 1·25 인터넷 대란에 이어 이번 사태까지 세계에서 가장 (사이버)피해가 큰 나라가 됐지만 사고가 일어난 후에도 별다른 조치가 취해지지 않았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안 교수는 “이번 사태가 불행한 일이기는 하지만 전 국민적인 관심이 높아진 것은 장기적으로 다행한 일”이라며 “이제부터라도 고쳐나가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안 교수는 이번 사이버대란의 교훈으로 “첫째, 보안 사고의 패러다임이 특정 국가나 단체 공격으로 바뀌었기 때문에 우리나라 자체적으로 대응능력을 길러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지난 2003년의 1·25 인터넷 대란은 전세계 불특정 다수를 공격해 일어난 대표적인 보안 사고였지만 이번 7·7 인터넷 대란은 특정한 국가, 그리고 특정한 정부기관과 회사를 공격해서 일어난 보안 사고"라며 "이러한 경향은 앞으로도 더욱 심해질 것이며, 따라서 우리나라 자체적으로 이에 대응할 수 있는 기술과 조직을 갖추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말했다.

안 교수는 “국가 안보를 용병에 맡길 수 없듯이 자국의 기술과 전문 인력을 키워 사명감을 갖고 사이버 안보를 책임질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안 교수는 두번째로 모든 네티즌들의 자발적 협조가 필요하다는 점을 꼽았다.

그는 “이제는 개인용 컴퓨터가 해킹의 목표가 되고 이들을 ‘좀비PC’로 만들어 큰 기관을 공격하는데 이용하는 상황이 된 요즈음에는 더 이상 특정한 기술자나 기관에서 안전을 담보하기에는 역부족이며, 컴퓨터를 사용하는 전 네티즌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하지 않으면 국가 전체의 사이버 안전을 담보할 수 없는 상황이 됐다”면서 “전 국민의 자발적인 참여와 이를 유도하는 정부의 리더십이 국가 경쟁력이 되는 시대가 됐다”고 말했다.

안 교수는 셋째 “이제부터라도 사이버 보안, 더 나아가서는 국가적인 위험관리 체계에 관심을 가지고 투자가 일어나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미국, 일본과 같은 선진국은 10년 전부터 전체 예산의 10% 정도를 보안에 투자하고 있는 반면 우리나라는 전체 예산의 1% 정도만 쓰고 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