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뇌졸중학회 ‘초고령화 사회에서 뇌졸중 치료시스템 구축을 위한 현황 분석 및 발전 방안 모색’ 기자간담회에서 배희준 대한뇌졸중학회 이사장이 발언하고 있다./대한뇌졸중학회 제공

중증 응급 질환에 해당하는 뇌졸중 환자를 다루는 대학병원 교수들도 정부의 의대 입학 정원 2000명 증원 정책에 우려를 표했다.

배희준 대한뇌졸중학회 이사장(서울대 의대 신경과 교수)는 14일 서울 중구 웨스틴조선호텔 서울에서 개최한 기자간담회에서 정부의 의대 정원 2000명 증원 정책과 관련해 “(늘어난 의사 인력을) 어떻게 필수의료로 인력이 모일 수 있을까가 핵심”이라고 말했다.

뇌졸중은 뇌혈관이 막히거나 터져서 발생하는 질환으로, 증상 발현 4~5시간 안에 처치해야 환자 생존은 물론 후유장애를 최소화할 수 있는 응급 중증 질환이다. 뇌졸중 전문의 숫자는 최소 인력에도 미치지 못한 상황이다. 전국 수련 병원 74곳에 전공의 숫자는 86명에 그친다. 작년 기준 전국 84개 뇌졸중센터에 근무하는 신경과 전임의는 14명으로, 2018년 29명 대비 반토막 났다. 중증 응급질환 치료를 담당하는 권역심뇌혈관센터 14곳 가운데 뇌졸중 전임의가 근무 중인 센터는 분당서울대병원 한 곳 뿐이다.

배 교수는 “필수의료 인력을 충분히 늘리려면 의대 입학 정원을 늘려야 한다는 얘기는 수학능력시험을 잘 보려면 공부를 열심히 해야 한다는 이야기와 같다”며 “지역 필수의료 붕괴를 막을 하나의 솔루션은 없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의사들이) 안 하려는 걸 하게 만들어 주는 걸 정부가 선행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지역 필수의료로 의사 인력 유입을 위해서는 의사가 늘어나야 하는 것은 맞지만, 전공의 수련 환경부터 전문의들의 근무 여건에 이르기까지 필수의료 분야로 의사들이 지원할 수 있도록 제도를 개선하는 것이 시급하다는 것이다. 배 교수는 의사 단체의 의대 증원 반발과 관련해서는 “정부가 정확한 의사 수요 예측을 통해 대화와 설득하는 작업을 병행해야 한다”고도 말했다.

김태정 서울대병원 신경과 교수는 “의대 입학 정원을 수 천명을 늘린다고 해도 뇌졸중 분야 전문의 지원자가 늘어날 지는 의문”이라고 말했다. 김 교수는 “2050년이면 매년 35만명의 새로운 뇌졸중 환자가 발생하고, 뇌졸중으로 인한 연간 진료비용 역시 연간 9조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며 “그런데 지금 당장도 뇌졸중 전문의 인력 문제로 뇌졸중 치료 체계의 근간이 흔들리고 있다”고 말했다.

뇌졸중학회 질향상위원장인 차재관 동아대 의대 신경과 교수는 “현재의 인원 수준으로 초고령화사회에 들어서면, 치료 시스템이 붕괴되는 것은 당연한 수순”이라며 “전공의 숫자는 현재의 약 2배 수준인 160명으로는 증원되어야 안정적으로 인적 자원을 확보할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