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변 재건축 최대어로 꼽히는 동부이촌동 한강맨션이 관리처분계획을 인가받으면서 사업 추진에 속도가 붙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 가운데 한강맨션 재건축 조합은 68층으로의 층고 상향을 추진할 예정이다. 이를 두고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재건축은 속도전”이라는 의견과 “고층 건축이 유리하다”는 등 의견이 갈린다.

서울 강북 최고 알짜 단지로 평가 받는 용산구 이촌동의 재건축 단지 ‘한강맨션’ 전경. /뉴스1

6일 부동산 업계에 따르면 서울 용산구청은 지난 2일 ‘한강맨션 주택재건축정비사업 관리처분계획인가’를 구보에 고시했다. 지난해 9월 주택재건축정비사업 사업시행계획 인가를 내준 이후 1년 2개월여 만이다.

한강맨션은 재건축을 통해 지하 3층~지상 35층 15개동 1441가구(임대주택 138가구 포함)으로 탈바꿈한다. 분양주택 1303가구 중 조합원 물량은 659가구, 일반분양은 631가구다. 나머지 13가구는 보류지(예비 분양 물량)로 설정됐다. 시공은 GS건설이 맡는다.

서울시는 지난 1일 35층 높이 제한 폐지를 골자로 한 ‘2040 서울도시기본계획(2040 서울플랜)’을 통과시켰다. 2040 서울플랜에 따르면 서울시는 2014년 도입된 주거용 건축물 관련 35층 이하 높이 기준을 삭제하고 지역 여건에 따라 다채로운 스카이라인을 유도한다. 높이 기준이 폐지돼도 용적률은 유지되기 때문에 위로 솟은 건물이 넓은 간격으로 배치돼 개방감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이에 따라 한강맨션 재건축 조합은 68층으로 층고 상향을 본격 추진한다. 이미 지난 1월 조합과 GS건설은 규제가 풀리는 것을 전제로 한 ‘68층 설계안’을 내놓고 준비를 해 왔다. 조합은 지난달 30일 설계 변경을 위한 도시계획 용역업체 선정 입찰공고를 내고 절차를 진행하고 있다.

조합과 시공사인 GS건설은 층고 상향 이후 건설을 최대한 빨리 마무리짓겠다는 입장이다. 68층으로 지을 경우 늘어나는 구체적인 공사 기간에 대해 GS건설 관계자는 “설계를 다시 해봐야 정확한 기간을 알 수 있겠지만, 통상 한 달에 3개층 정도 올라간다”면서 “30층이 늘어나면 10개월 정도 걸린다고 보면 될 것”이라고 했다.

조합 관계자는 “아무래도 지금보다는 더 높이 올라가는 걸 원한다”면서 “철거와 이주를 하는 동안 설계를 변경하는 ‘투트랙’으로 절차를 진행하면서 기존에 예정된 착공 기간 내에 공사를 마무리할 예정”이라고 했다.

이에 대한 부동산 전문가들의 의견은 갈리는 상황이다. 68층을 짓는 것이 유리하다는 입장과 그렇지 않다는 입장이 있다. 고준석 제이에듀투자자문 대표는 “재건축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속도인데 층고를 상향하면 적어도 1~2년은 더 걸릴 것”이라면서 “그렇게 해서 가격이 강남 고가 아파트만큼 된다면 가치가 있겠지만, 그렇지 않다면 빨리 하는 게 낫다”고 했다.

반면 김제경 투미부동산컨설팅 소장은 “오세훈 서울시장 취임 후 재건축 관련 규제를 풀고 있는 현재 추세를 봤을 때 68층 층고 상향은 충분히 실현을 기대해볼 만하다”면서 “공사 기간이 최대 4년까지 더 걸릴 수는 있겠지만 집값이나 조망, 랜드마크가 될 수 있는 가능성 등 가치적으로 좋아질 여지가 많기 때문에 초고층을 추진하는 것이 좋아 보인다”고 했다.

부동산 시장에서는 한강맨션을 필두로 서울 노른자위 땅에 초고층 아파트가 잇따라 세워질 것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현재 서울 주요 재건축 단지들은 초고층으로의 건축을 추진 중이다.

영등포구 여의도동 시범아파트는 65층, 송파구 잠실동 잠실주공5단지와 여의도동 한양아파트는 50층을 추진 중이다. 강남구 대치동 은마·미도아파트, 압구정동 3구역, 서초구 잠원동 신반포2차, 여의도동 공작아파트는 49층 건축을 계획하고 있다. 이대로 실현된다면 층수 제한 전에 세워진 56층 규모의 이촌동 래미안 첼리투스, 성수동 트리마제(47층) 등을 능가하는 신축 아파트가 연이어 탄생할 수 있다.

다만 초고층 아파트들의 탄생이 예고되는 규제 완화 추세가 당장 부동산 시장 전반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은 희박하다고 전문가들은 전망했다. 고 대표는 “아파트를 좀 더 높게 짓는다는 것으로 시장에 영향을 주기는 힘들다”면서 “입주할 때쯤 그 지역에 국한해서 가격에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김 소장도 “높게 짓는 게 확정되면 해당 단지 가격 등에 국지적으로 영향을 미칠 것 같다”고 했다.